산업 산업일반

“동반성장지수 평가방식, 업종·규모별로 달리 적용돼야”

동반성장지수 평가대상기업들은 동반성장 평가방식을 업종별·기업규모별로 달리 적용하고, 상대평가를 절대평가로 바꾸는 등의 방식으로 현행 동반성장지수를 개선해야 한다고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경제인연합회중소기업협력센터(이하 협력센터)는 2013년 동반성장지수 평가대상기업 100개사를 대상으로 한 ‘주요기업의 동반성장지수에 대한 인식과 보완과제 실태조사’ 결과 이 같이 나타났다고 23일 밝혔다.


평가대상기업들은 동반성장지수 평가방식을 ‘업종별·규모별로 달리 적용해야 한다(47.1%)’고 생각하는 기업들이 많았으며 ‘상대평가를 절대평가로 바꾸고, 상위평가기업만 발표해야 한다’(40.0%)는 목소리도 높았다. ‘현행 지수평가틀을 유지해도 무방하다’는 응답은 4.3%에 불과했다.

관련기사



동반성장지수의 대안모델로는 ‘경영자원과 특성, 중소기업의 기술·경영수준 등 기업역량에 맞는 동반성장 평가모델 도입(57.1%)’ 을 선호했다. ‘대기업의 동반성장 평가와 병행하여 중소기업의 자생력 강화노력에 대한 측정장치 마련’(18.6%), ‘동반성장 우수기업에 세액공제 혜택부여 등 인센티브 강화(14.3%)’ 등이 뒤를 이었다.

평가대상기업들은 동반성장지수 시행으로 인한 순기능으로 ‘동반성장 추진 틀 마련과 인식 확산(79.4%)’, ‘대기업의 협력사 지원확대·참여도 증가(77.3%)’등을 꼽았다. 반면 문제점으로는 ‘인센티브 미흡으로 자발적 참여유인 저하(88.7%)’, ‘기업 현실과 규모별·업종별 특성 미반영으로 기업의 창의성 발휘제약(85.7%)’, ‘중소기업 자생력 강화노력의 측정장치 부재’ (78.6%) 등을 들었다.

양금승 협력센터 소장은 “산업생태계 전반으로 동반성장의 기업문화가 확산되기 위해서는 현행 동반성장지수에 대한 평가대상기업들의 목소리를 받아들여 기업현실과 역량에 따라 차등화하고, 기업의 자발성과 창의성을 이끌어내는 방향으로 동반성장 평가와 발표방식을 대폭 보완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