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한은 '물가 안정' 강조…조만간 금리인상 시사

金총재 "통화정책 실기 안돼"

한국은행이 '물가안정'을 강조하며 조만간 기준금리 인상에 나설 수 있음을 시사했다. 10일 김중수 한은 총재는 금융통화위원회 회의 기자회견에서 "하반기에 경기상승세가 지속되고 공공요금도 인상될 것으로 예상돼 물가오름세가 확대될 것"이라며 "우리 경제가 물가안정 기조 위에서 견조한 성장을 지속할 수 있도록 통화정책을 운용하겠다"고 밝혔다. 김 총재는 또 물가인상 억제를 위한 선제적 금리인상 가능성에 대해 "선제적 대응이 필요한지 등은 통화정책을 바라보는 이론마다 다르다"면서도 "통화정책을 결코 실기해서는 안 된다는 점을 유의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같은 발언은 그동안 한은 통화정책이 경제회복을 위한 완화적 기조였다면 이번에는 '물가안정' 쪽으로 무게중심을 옮긴 것으로 해석된다. 지난번 금통위 통화정책결정문에서 "금융완화 기조를 당분간 유지하겠다"는 기존의 입장에서 '당분간'을 삭제한 데 이어 이번 결정문에서는 기존에 없었던 물가안정 강조 문구가 삽입됐다. 물가상승세를 억제하기 위한 금리인상이 머지않았음을 시사하는 대목이다. 소비자물가는 지난 3월 전년동기 대비 2.3% 오른 데 이어 4월 2.6%, 5월 2.7%로 높아졌다. 생산자물가도 5월 4.6%나 급등해 하반기 소비자물가 상승은 불가피한 상황이다. 경기회복세는 남유럽 위기 등 대외여건이 불안한 가운데서도 이어지고 있다. 김 총재는 "5월 들어서도 수출이 호조를 보이고 고용사정도 민간을 중심으로 한층 회복되고 있으며 국내경기의 상승세가 지속될 것"이라고 전했다. 그러나 유럽 위기가 쉽사리 진정되기 힘든 상황이어서 경기 불확실성은 상존한다는 게 한은의 인식이다. 이에 따라 금통위는 이날 기준금리를 연 2%로 16개월째 동결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