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인수위 전문위원 발표] 조직개편 예고편?

건교부, 3명으로 가장많은 전문위원 배출<br>공정위, 과기, 해수부 등 전문위원 파견 못해

30일 인수위원회 전문직 명단이 최종 확정되면서 부처 간 명암도 갈리고 있다. 이날 발표된 전문위원은 당 파견 포함 71명. 이중 정부 관료들은 34명이다. 관심은 전문위원에 포함된 관료 34명 중 파견을 하지 못한 부처도 여럿 된다는 점이다. 해당 부처들은 “인수위에 포함된 전문위원의 숫자가 이후 정부 조직개편의 예고편이 아니냐”고 우려하고 있다. 부처별로는 재정경제부가 조원동 차관보를 비롯해 최중경 세계은행 상임이사 등 2명이 파견돼 경제정책 수장 부서로서 면모를 보여줬다. 참여정부 시절 규모를 키우면서 최대 수혜주로 꼽혔던 기획예산처도 김동연 재정정책기획관, 국방대에 파견된 김규옥 국장 등 2명이 전문위원에 인선됐다. 산업자원부 역시 경제2분과위와 기후변화협약TF에 각각 윤수영 국장, 이강후 국장 등을 포진시켜 이명박 정부가 추진 중인 ‘대부제’의 수혜 대상이 될 것임을 예고했으며 건설교통부 역시 서종대 주거복지본부장, 이재붕 국장을 각각 경제2분과, 한반도대운하TF에 배치했으며 국가균형발전위원회에 파견 중이던 도태호 부이사관까지 기획조정분과위에 내보내 단일 부처로는 가장 많은 3명의 전문위원을 배출했다. 다만 산자부와 부처 통합이 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예상됐던 정보통신부(형태근 통신위 상임위원)는 한명을 파견하는 데 성공했다. 정통부는 당초 전문위원 명단에 포함되지 않은 것으로 알려지면서 긴장감이 돌기도 했다는 후문. 전문위원 중 빠진 부처도 있다. 과학기술부ㆍ공정거래위원회ㆍ해양수산부 등이 대표적이다. 과기부는 산자부 등과의 통합 논의가 있는데도 불구, 전문위원으로 포함되지 않아 당혹해하는 분위기다. 또 이명박 정부가 출범에 앞서 출자총액제한제도 폐지 등을 주장하고 있는 가운데 기능축소 등의 대상이 되고 있는 공정거래위원회가 지난번 정권과는 달리 전문위원에 고위 관료를 파견하는 데 실패했다. 해양수산부도 전문위원을 파견하는데 실패, 부처 존속 여부가 불투명해진 게 아니냐는 불안감이 증폭되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