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미네르바는 파이낸셜뉴스 곽인찬 논설위원?

칼럼서 주장했다가 "아니다" 철회 해프닝

현직 경제신문 논설위원이 자신이 '인터넷 경제대통령' 미네르바라고 주장했다가 다시 아니라고 밝히는 해프닝이 벌어졌다. 곽인찬 파이낸셜뉴스 논설위원은 2일 '곽인찬 칼럼'을 통해 '미네르바 자술서'라는 제목의 글을 올려 자신이 미네르바라고 주장했다. 그는 이 글에서 "자수한다. 내가 바로 그 미네르바다. 더 이상 정부와 언론은 날 찾느라 시간을 허비하지 않길 바란다"라면서 "듣자하니 내가 요즘 떴단다. ‘인터넷 경제 대통령’으로 부르는 사람도 있다니 황공무지로소이다"라고 말했다. 그는 "아마 사람들은 리먼 브러더스의 파산과 환율 급등, 주가 부동산 급락을 내다본 내 신통력에 놀란 모양"이라며 "고백하건대 진짜 놀란 사람은 바로 나다. 지난 여름 글을 쓰기 시작했을 때 일이 이렇게 번질 줄은 꿈에도 몰랐다. 그냥 알량한 경제지식과 상식에 입각해 소신껏 글을 올렸을 뿐인데 사이버 공간이 좋긴 좋다"라고 말했다. 곽 논설위원은 "정부는 과민성 스트레스 반응을 보였고 나는 절필 선언과 동시에 잠적했다. 그랬더니 더 웃기는 일이 벌어졌다. 아, 글쎄 내가 순교한 예언자로 둔갑하는 것이었다. 이제 난 전설이 됐다"고 밝혔다. 그는 "이왕 이렇게 된 거, 전설의 순교자답게 할 말이나 해보자. 정부에 묻는다. 왜 사람들은 나를 순교자로 추앙할까. 왜 사람들은 정부보다 내 말에 더 귀를 기울일까. 한 마디로 정부가 불신을 받고 있기 때문"이라며 "(정부가) 무슨 말을 해도 사람들은 고개를 갸웃거리지만 나는 반토막 펀드를 쥐고 밤잠을 설치는 투자자들의 막막한 속을 시원하게 긁어줬다. 그들이 나를 따르는 건 당연하다"라고 말했다. 곽 논설위원은 "오늘날 위기가 10년 전 외환위기와 크게 다른 점은 바로 나같은 이들이 활개칠 공간이 널찍하게 마련됐다는 것"이라며 "그런 면에서 나를 키운 건 8할이 이 정권이다"라고 말했다. 그는 "정부 자체가 갈팡질팡, 쩔쩔매고 있다. 현직 관료들은 이헌재 전 장관의 등장에 주체할 수 없는 부끄러움을 느껴야 한다"라고 말하며 이명박 정부의 실정을 강하게 비판한 후 "나 미네르바는 사이버 순교자답게 이 한몸 바쳐 난국이 풀릴 수 있다면 목숨이라도 던지겠다. 꼭 던지겠다는 게 아니라 원칙이 그렇단 얘기다"라고 글을 맺었다. 하지만 곽 논설위원은 이 글이 인터넷 등에서 큰 파장을 일으키자 이날 오후 자신은 미네르바가 아니라고 밝혔다. 하지만 그가 왜 자신을 미네르바라고 주장했는지는 아직까지 밝혀지지 않고 있다. 곽 논설위원의 글은 파이낸셜뉴스 내부에서도 적잖은 논란을 부르고 있지만, 회사 내에서도 왜 곽 논설위원이 스스로를 미네르바라고 주장했는지는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파이낸셜뉴스의 한 기자는 "기자들 역시 이날 오후까지 곽 논설위원을 미네르바로 믿고 있었다"고 말했다. 다음은 곽 위원이 올린 '미네르바 자술서' 전문. 자수한다. 내가 바로 그 미네르바다. 더 이상 정부와 언론은 날 찾느라 시간을 허비하지 않길 바란다. “당신이 미네르바라는 걸 어떻게 믿느냐”고? 허참, 신뢰의 위기가 정말 심각하군. 좋다, 증거를 대겠다. 나는 부엉이 한 마리를 애지중지 키운다. 어두운 밤 내가 컴퓨터 자판을 두드릴 때 그 부엉이는 늘 내 어깨 위에 앉아 있다. 인터넷에 올리는 글이 막힐 때 나는 부엉이의 지혜를 빌린다. 지혜의 여신 미네르바와 부엉이의 동거 얘기는 다들 들으셨겠지. 제발 좀 믿고 살자. 그럼 이쯤에서 내가 미네르바라는 입증 프로세스를 마치고 본론으로 들어가겠다. 듣자하니 내가 요즘 떴단다. ‘인터넷 경제 대통령’으로 부르는 사람도 있다니 황공무지로소이다. 아마 사람들은 리먼 브러더스의 파산과 환율 급등, 주갇부동산 급락을 내다본 내 신통력에 놀란 모양이다. 내가 추천한 책이 서점에서 불티나게 팔리고 인터넷 토론광장 ‘아고라’에 올린 글들을 모아 선집으로 펴냈다는 얘기도 들린다. 언론은 ‘미네르바 신드롬’을 연일 크게 다루고 있다. 고백하건대 진짜 놀란 사람은 바로 나다. 지난 여름 글을 쓰기 시작했을 때 일이 이렇게 번질 줄은 꿈에도 몰랐다. 그냥 알량한 경제지식과 상식에 입각해 소신껏 글을 올렸을 뿐인데 사이버 공간이 좋긴 좋다. 제도권 언론이나 애널리스트들과 달리 눈치 안 보고 마음껏 쓸 수 있다는 게 사이번 논객들만의 특권이다. 그런데 경제 파탄을 예고하는 ‘닥터 둠(Dr.Doom)’의 글에 댓글이 줄줄이 붙자 몇몇 분들의 심기가 불편했던 모양이다. 게다가 토론방 이름까지 ‘아고라’라니! 바로 정권 초 쇠고기 파동을 부추긴 그 못돼먹은 토론방이 아닌가. 정부는 과민성 스트레스 반응을 보였고 나는 절필 선언과 동시에 잠적했다. 그랬더니 더 웃기는 일이 벌어졌다. 아, 글쎄 내가 순교한 예언자로 둔갑하는 것이었다. 이제 난 전설이 됐다. 이왕 이렇게 된 거, 전설의 순교자답게 할 말이나 해보자. 정부에 묻는다. 왜 사람들은 나를 순교자로 추앙할까. 왜 사람들은 정부보다 내 말에 더 귀를 기울일까. 왜 사람들은 현 경제팀이 위기를 극복할 능력이 없다고 보는 걸까. 한 마디로 정부가 불신을 받고 있기 때문이다. 무슨 말을 해도 사람들은 고개를 갸웃거린다. 반면에 나는 반토막 펀드를 쥐고 밤잠을 설치는 투자자들의 막막한 속을 시원하게 긁어줬다. 그들이 나를 따르는 건 당연하다. 혹자는 내 글을 혹세무민하는 도참(圖讖) 쯤으로 폄훼하기도 한다. 하나만 알고 둘은 모르는 얘기다. 도참은 불신을 먹고 자란다. 불신이 사라지면 도참이 뿌리 내릴 공간이 없다. 오늘날 위기가 10년 전 외환위기와 크게 다른 점은 바로 나같은 이들이 활개칠 공간이 널찍하게 마련됐다는 것이다. 그런 면에서 나를 키운 건 8할이 이 정권이다. 흘러간 옛 관료가 각광을 받는 것은 내가 주목을 받는 것과 같은 이유에서다. 외환위기 극복의 주역이었던 이헌재 전 장관은 최근 계단까지 빽빽이 들어찬 한 강연에서 “초기 진화에 실패한 남대문 화재의 참상이 떠오른다”고 걱정했다. 현직 관료들은 이 전 장관의 등장에 주체할 수 없는 부끄러움을 느껴야 한다. 손성원 미국 캘리포니아주립대 석좌교수는 “한번에 확 몰아서 ‘빅뱅’ 정책을 내놔야 한다”고 말했다. 참 어려운 주문이다. 낫과 망치를 들었다가 힘 없이 내려놓고 건설사 구조조정 하나 제대로 처리하지 못하는 현 정부의 능력을 손 교수는 과대평가하고 있다. 시장 실패가 초래한 현재의 위기는 정부가 풀 수밖에 없다. 그러나 정부 자체가 갈팡질팡, 쩔쩔매고 있다. 비상시기에 걸맞은 발상의 전환으로 이 난국을 헤쳐나가야 한다. 나 미네르바는 사이버 순교자답게 이 한몸 바쳐 난국이 풀릴 수 있다면 목숨이라도 던지겠다. 꼭 던지겠다는 게 아니라 원칙이 그렇단 얘기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