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동십자각/6월 3일] '문제투성이' 6·2 지방선거

말 많고 탈 많았던 6ㆍ2 지방선거가 마무리됐다. 오는 7월1일부터 향후 4년 동안 지방자치단체와 지방의회, 시도 교육청, 시도 교육위원회를 책임질 지역 일꾼들이 선출됐다. 이번 결과가 최상의 선택이었는지 확인하는 데는 긴 시간이 필요하지 않을 것이다. 6ㆍ2 지방선거에 대해 정치권은 물론 후보들과 일부 유권자 또한 반성해야 할 여지가 많다. 지난 4년 동안 지자체 단체장과 지방의회 의원, 시도 교육감, 시도 교육위원들이 지역민들을 대신해 지역 발전과 교육 발전을 위해 어떻게 일해왔는지를 평가하고 심판해야 할 소중한 장이 북풍이니 노풍이니 세종시풍이니 하는 정치권의 싸움논리에 휘말린 채 물고 뜯는 저질 싸움판으로 변질되고 말았다. 이는 당연히 어떤 후보를 뽑아야 할지에 대한 유권자들의 판단을 흐리게 만들었다. 일부 유권자들은 지방선거 본연의 의미를 망각한 채 지역 일꾼으로 누가 최적의 인물인지 꼼꼼히 살피지도 않고 투표장에 나가 찍지 말아야 할 후보에게까지 표를 주는 부끄러운 일에 동참했다. 국민 모두는 지방자치가 하루빨리 정착돼야 한다고 목소리를 크게 내지만 정작 지방자치 발전을 가로막는 일에 스스로 몸을 담는 이중적 행태를 보인 유권자들이 적지 않았다. 비리 후보, 철새 정치인, 허황된 공약만 남발하는 후보 등에게 표를 주지 말아야 지역이 발전하고 지방교육이 한단계 업그레이드될 수 있다고 알고 있지만 이번 선거에서도 이를 지키지 못했다는 평가다. 물론 이처럼 투표행위를 하도록 잘못 이끈 것은 정치권과 후보들이다. 중앙정치권은 지방자치 발전보다 자신들의 정치적 승리를 위해 각종 바람을 일으키려 노력했고 각 후보들은 지방과 지방교육 발전을 위해 그간 준비해온 공약ㆍ정책을 알리기보다 상대방을 비방하거나 지역민을 선동하는 일에만 매달렸다. 급기야 지방선거 무용론까지 확산되고 있다. 이번 6ㆍ2 지방선거는 문제가 많았던 선거로 기록될 것이 분명하다. 훌륭한 정책과 실현 가능한 공약보다 유력 정치인에게 줄 서서 공천받고 바람만 일으키면 당선될 수 있다는 잘못된 후보관이 판친 마지막 선거가 됐으면 좋겠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