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재건축 규제 풀고 양도세 중과 유예를"

현대경제硏 "경직적 주택 공급정책 효과 의문"

서울 강남 지역의 부동산 가격을 잡기 위해서는 경직적 주택 공급 정책보다 재건축 규제 완화와 양도세 중과 유예 등이 더 효과적이라는 주장이 제기됐다. 현대경제연구원은 2일 ‘지역별 부동산 공급 차별화 정책 필요’ 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8ㆍ31 부동산대책 발표 이후 서울 강남 4개구(강남ㆍ서초ㆍ송파ㆍ양천) 아파트의 매매가 상승률은 평균 9.3%로 전국 아파트 상승률 2.9%나 서울 강북 아파트 상승률 4.4%를 크게 웃돌았다. 연구원은 이처럼 강남 지역의 부동산 가격 상승세가 이어지는 것은 정부의 대책이 오히려 강남권의 국지적 수급 불균형을 더욱 심화시켰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용적률 축소, 개발이익 환수제 등의 재건축 규제 강화와 양도세 중과에 따른 매물 감소로 강남권의 주택, 특히 중대형 평수 아파트의 추가 공급 여력은 축소된 반면 교육ㆍ문화적 이점과 제2 롯데월드 건설, 삼성본사 이전 등의 호재에 이끌린 강남진입 수요는 계속 늘고 있다는 설명이다. 따라서 향후 집값이 전반적으로 하향 안정화된다 해도 서울 강남권과 뉴타운 예정지 등의 경우 잠실 재건축 지구 및 판교 신도시 입주가 시작되는 오는 2008년까지 오히려 추가 상승할 가능성이 있다고 연구원은 진단했다. 연구원은 공급 부족 지역인 강남권의 경우 용적률 및 소형 평형 의무 비율 등 재건축 규제를 완화해 중대형 평형의 공급 확대를 허용하는 대신 여기서 발생한 이익을 부도심권의 국민임대주택 건립 재원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제안했다. 또 공급이 늘어나는 2008년까지는 양도세 중과를 유예함으로써 다주택자의 ‘매각 후 퇴로’를 열어 심각한 매도자 우위 상태에서 벗어나야 한다고 조언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