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일부 사립대, 특목고 특별전형 도입 논란

숙명여대·외대등 올 수시 2학기 전형에 도입

일부 사립대가 2006학년도 수시 2학기 전형에 외국어고와 과학고 등 특수목적고 학생만을 위한 전형방식을 도입하기로 해 논란이 일고 있다. 특별전형에서 지원 자격을 제한하는 경우는 있지만 응시자격 자체를 특목고 출신으로 제한하기는 이번이 처음이다. 17일 각 대학에 따르면 숙명여대는 2006학년도 수시 2학기 전형에 일반학생 전형과 별도로 특목고 출신자 전형을 신설했다. 인문계와 자연계 각 모집 단위별 2~5명씩 84명을 선발하며 `학생부 40%+논술 60%' 또는 `학생부 40%+ 면접ㆍ구술 60%'를 반영하는 두 가지 방식이 적용된다. 한국외대도 2006학년도 수시 2학기에서 `특성화고교 특별전형'을 도입해 고교 전공과 같은 계열에 진학하는 외고 학생 40여명을 따로 뽑으며, 성결대도 외대와 같은 이름의 수시 2학기 특별전형을 통해 외고출신 학생만 별도로 선발할 계획이다. 그러나 이처럼 출신 학교를 기준으로 응시 자격을 제한하는 것은 헌법에 보장된 평등권을 침해하는 것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특히 지난해 10월 교육계를 뜨겁게 달궜던 ‘고교 등급제’ 논란에 다시 불을 지필 것으로 보인다. 이에 앞서 서울대는 16일 현재 고1년생이 대학에 진학하는 2008학년도 대학입시에서도 ‘특목고 동일계 특별전형’ 제도를 도입하지 않을 방침이라고 밝혔다. 특정분야 우수자의 선발은 외국어고나 과학고 출신뿐 아니라 일반계ㆍ실업계 고교나 다른 배경을 가진 학생들도 응시할 수 있는 기존의 ‘특기자 전형’으로 가능하기 때문이라는 게 서울대의 설명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