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4분기 수출도 개선되기 힘들어"...무역협회 '수출산업경기전방(EBSI)' 조사

100.4로 전분기와 비슷한 수준...수출상대국 경기 부진 영향

석유제품, 선박, 반도체 '회복' vs 휴대전화, 가전 자동차는 '악화'

국내 수출업체들은 올 4·4분기에도 수출이 크게 개선되기는 힘들 것으로 보고 있다.

29일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이 국내 602개 수출업체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수출산업경기전망(EBSI) 조사’에 따르면 4분기 EBSI는 100.4을 기록해 전분기와 비슷한 수준으로 예상됐다.

EBSI는 100을 기준으로 전분기에 비해 경기를 밝게 보는 의견이 많을수록 200에, 경기를 어둡게 보는 의견이 많을수록 0에 가까워진다.


항목별로 보면 수출상담(107)과 수출계약(1051)은 소폭 개선될 것으로 예상됐으나 수출국 경기(92), 국제수급(94), 수출단가(94) 등은 전분기보다 악화될 것으로 예상됐다.

관련기사



품목별로는 석유제품, 선박, 반도체 등을 중심으로 4분기 수출경기가 소폭 개선될 것으로 조사됐다. 석유제품은 113.6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선박(111.1), 의료·정밀 및 광학기기(110.9), 반도체(105.6)가 그 뒤를 이었다. 석유제품의 경우 정제마진 회복 및 단가하락에 따른 수요증가가 호재로 작용할 것으로 기대되며 선박은 기저효과의 영향으로 4분기에 회복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됐다. 반도체의 경우 메모리는 PC수요부진과 세트업체들의 재고증가 등으로 경기전망이 밝지 않으나 시스템반도체는 신규수요처 확보(애플, 퀄컴과의 AP파운드리 체결)와 중국 휴대폰 업체의 사양 고급화 등으로 4분기 수출경기가 개선될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반해 무선통신기기, 가전, 자동차 등 대부분의 품목의 수출경기는 전분기 대비 악화될 것으로 조사됐다.

수출애로요인으로는 수출대상국의 경기부진(20.9%)이 가장 큰 것으로 조사됐다. 이어 원화환율 변동성 확대(16.6%) 및 중국 등 개도국의 시장잠식(13.8) 등이 주요 요인으로 지적됐다.

국제무역연구원 관계자는“연말까지 미국의 정책금리 인상, 중국의 경기둔화와 신흥국 경기불안 등 우리 수출의 하방리스크 요인들이 산재해 있다”고 설명했다.


이혜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