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美쇠고기 안전" 기존주장 되풀이

美농무부 긴급회견…재협상 문제는 경계

미국 농무부가 일요일인 4일(현지시간) 이례적으로 워싱턴 주재 한국특파원들과 기자회견을 갖고 “미국산 쇠고기는 안전하다”고 거듭 주장했다. 이는 한국에서 확산되고 있는 광우병 공포가 쇠고기 재협상 문제로 비화되는 것을 막기 위한 조처로 보인다. 하지만 미국산 쇠고기가 안전하다는 기존 주장을 되풀이한 것에 불과해 국내 반발 여론을 무마시킬 수 있을지 의문시된다. 리처드 레이먼드 농무부 식품안전담당 차관은 기자회견에서 “미국의 검역시스템은 세계에서 가장 안전하고 효과적인 체계를 갖추고 있다”며 “미국산 쇠고기의 광우병 가능성은 0%로 안전하다”고 밝혔다. 그는 “광우병은 광우병특정위험물질(SRM)을 제거하면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며 “농무부는 도살한 쇠고기에서 모든 SRM 제거를 의무화했고 도축시설은 농무부 감독관의 상주하에 도축작업을 진행하고 있다”고 해명했다. 레이먼드 차관은 “미국 정부는 현행 협정이 한국 소비자들의 건강과 식품 안전에 대한 우려에 잘 대처하고 있다고 믿고 있다”며 “협정은 식품 안전에 대한 우려가 확인됐을 때 미국의 시설을 감사할 수 있고 미국 농무부와 협력할 수 있는 한국의 주권에 관계된 권리를 부여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나 그는 “이 자리는 식품 문제만을 논의하기 위한 자리이지 협상 문제를 논의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고 밝혀 쇠고기 재협상이 현안으로 부상하는 것을 경계했다. 특히 레이먼드 차관은 지난 4월 초 버지니아주의 한 여성이 인간 광우병으로 사망했다는 의혹과 관련, “사망 원인을 가리기 위한 조사가 진행됐고 검시 결과 인간 광우병으로 인한 사망이 아니라는 결과가 나왔다”며 “공식적으로 발표할 것”이라고 밝혔다. 도축장 현장을 담은 동물보호단체 휴먼소사이어티의 비디오에 대해서는 “비디오 때문에 홀마크가 2006년 2월 이후 생산한 1억4,300만파운드의 냉동육을 리콜 조치했다”며 “그러나 이는 식품에 문제가 있어서가 아니라 업체가 규정을 준수하지 않은 탓”이라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