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강점기에 주요 친일파 인사가 보유했던 땅이 당시 경성(京城.서울의 옛 지명) 면적의 13배 가량인 1억3천여평에 달했던 것으로 추산됐다.
지금까지 친일파의 개인별 토지 보유면적이 발표된 적은 있지만 이들이 갖고 있던 토지의 전체 규모가 구체적으로 공개되기는 처음이다.
한국미래정책연구원 홍경선 연구원이 3일 내놓은 박사학위(인하대 행정학과) 논문 `일제시대 토지의 국가관리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에 따르면 이완용 등 매국형친일파(10명)와 조선귀족회, 중추원의 친일파(31명) 등이 보유한 토지는 1억3천484만평(약 445.75㎢)인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1927년 기준 경성 면적(1천63만평)의 13배 규모로, 현재 광주광역시 면적(501.44㎢)에 조금 못 미치고 한반도 전체 면적(22만1천㎢)의 0.2%에 달한다.
홍 연구원은 토지ㆍ임야 조사부와 일제시대 지주명부, 조선총독부 관보, 조선삼림회보, 토지조사부 등 역사자료를 토대로 친일파의 토지보유 규모를 이렇게 추산했다.
조사결과 이완용, 송병준 등 매국형 친일파는 6천92만평을, 조선귀족회는 2천896만평을 보유했으며 중추원 친일파는 4천497만평을 갖고 있었던 것으로 집계됐다.
매국형 친일파 가운데는 송병준이 2천240만여평, 박영효 1천709만여평, 이완용이 1천370만여평을 보유했으며, 중추원 귀족은 공주지역 갑부로 알려진 김갑순이 1천1만여평을 소유해 가장 많은 땅을 갖고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매국형 친일파에는 이완용, 송병준, 박영효 외에 이해창, 이근호, 윤덕영, 민영휘, 이재극, 이해승, 민병석이, 중추원 친일파에는 박필병, 이기승, 문종구, 백인기,김경진, 현준호, 한규복, 김상섭 등이 포함됐다.
홍 연구원은 "친일파는 친일 대가로 은사금과 작위를 받고 중추원 관리로 임명된 뒤 토지조사사업 과정이나 국유 임야를 임대받은 후 양여받는 식으로 토지를 늘렸다"며 "친일행적이 확실한 인사만 대상으로 삼고 제한적 자료를 인용했기 때문에새로운 자료가 나오면 이들의 보유 토지는 더 늘어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작년 11월까지 친일파 후손들은 27건의 토지환수 소송을 내 이 가운데 48%인 13건에서 승소했다"며 "친일파 재산으로 의심되는 주인없는 부동산의 국유화와친일후손 토지에 대한 실태조사를 통해 친일파 후손이 땅을 되찾는 것을 막아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