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阿·중동과 장관급 협의체 신설

이중과세 방지등 체결… 경제협력 강화 나서

정부가 아프리카ㆍ중동과의 경제협력 강화를 위해 상시 장관급 협의체를 신설한다. 또 이중과세 방지와 투자보장협정 등을 체결해 우리 기업들의 아프리카와 중동 시장 진출 기반을 강화할 계획이다. 6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정부는 아프리카와 중동과의 경제협력채널을 현재의 실무급에서 장관급 협의체로 격상해 한ㆍ아프리카, 한ㆍ중동 경제협력을 강화하기로 했다. 원유 및 광물자원 확보의 요충지와 차세대시장으로 세계 각국의 주목을 받는 아프리카와 중동 시장에 대한 공략을 보다 체계화하기 위해서다. 정부는 우선 장관급 협의체 상시화를 기반으로 남아프리카공화국과 가나ㆍ콩코민주공화국 등 아프리카 3~4개 나라를 중점협상대상국으로 지정, 한ㆍ아프리카 경제협력 모델을 만들 계획이다. 또 주요20개국(G20) 서울 정상회의에서 합의된 개발의제 후속 차원에서 우리의 경제발전 경험을 개발도상국에 전수하는 경제발전공유사업(KSP) 대상 국가도 오는 2012년까지 현재 4개국에서 최대 12개국 이상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아프리카 지역의 자원개발과 건설, 인프라 구축 협력을 강화할 방침이다. 특히 케냐 등 주요 아프리카 국가들과 이중과세 방지협정과 투자보장협정을 체결해 우리 기업들의 아프리카 시장 진출 확대를 유도할 방침이다. 아프리카에 진출하는 우리 업체들의 수출신용과 시장개척자금 지원을 확대하고 아프리카개발은행(AfDB)의 경제협력 신탁기금도 현재 500만달러 수준에서 1,000만달러로 두 배 이상 늘릴 예정이다. 중동과도 공식 장관급 경제협력 채널을 신설하는 것은 물론 고위급 외교를 확대해 경제협력 강화에 나선다. 이를 위해 자유무역협정(FTA)과 이중과세 방지협정, 투자보장협정, 개발 분야 양해각서(MOU) 체결 등을 통해 법적ㆍ제도적 기반을 구축해 우리 기업들의 진출을 늘릴 계획이다. 협력 분야로는 기존 에너지와 플랜트 분야의 내실화를 비롯해 의료와 교육 등 고부가서비스 분야로 확대할 방침이다. 특히 정보통신기술 등 중동 국가들의 관심이 높은 분야에 대한 협력을 강화할 방침이다. 재정부의 한 관계자는 "이들 지역은 선진국들이 자원 확보와 차세대시장으로 주목하며 진출을 확대하기 위한 경쟁이 치열하다"면서 "이들과의 협력 강화를 위해 공적개발원조 규모를 현재 아프리카 15%, 중동 5%에서 각각 20%, 10% 이상으로 확대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