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대선후보 선출 全大 시기조정 반대"

박근혜 대표 "혁신안 충분한 논의 거쳐 도입…지금은 민생 주력해야"

박근혜(오른쪽) 한나라당 대표가 8일 사실상 퇴임 전 마지막 최고위원회의를 주재하기 위해 회의장으로 입장하고 있다. /오대근기자

박근혜 한나라당 대표는 8일 내년 대선후보 선출 전당대회 시기를 둘러싼 당내 논란에 대해 “당내 논의를 충분히 거쳐 만들어진 제도를 유불리를 따져 고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며 반대의사를 분명히 했다. 박 대표는 오는 16일 대표직 퇴임을 앞두고 열린 이날 기자간담회에서 이같이 밝혔다. 그는 대선후보선출시기와 당권ㆍ대권 분리원칙 등 “(당헌ㆍ당규 개정)‘혁신안’이 도입되기까지 9개월간 당내의 충분한 논의를 거쳤고 바뀐 제도가 시행된 지 7개월밖에 지나지 않았다”며 “원칙은 지켜져야 하는 것이고 지금은 무엇보다 5ㆍ31 지방선거에 나타난 민심을 받들어 민생에 주력해야 할 시기”라고 말했다. 바뀐 한나라당 당헌에 따르면 대선후보 선출을 위한 전당대회는 대통령 선거 6개월 이전에 열도록 되어 있으며 당 대표와 대선주자를 겸할 수 없도록 해 당권과 대권을 분리하도록 하고 있다. 5ㆍ31 지방선거이후 대선체제 전환을 서두로고 있는 한나라당내에서는 이명박 서울시장 등이 대선후보 선출시기를 좀더 늦출 것을 제안하고 나서 논란이 되고 있다. 박 대표는 이와 함께 “야당 후보뿐만 아니라 여당 후보도 충분히 국민검증을 거쳐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박 대표는 고건 전 총리의 희망연대에 대해서도 “그분의 선택이다”라고 평가한 뒤 “대응하기보다 우리당(한나라당)이 스스로 어떻게 잘하느냐가 중요하다”고 했다. 박 대표는 2년여의 당대표 재직기간 중 가장 기억에 남는 일로 “2004년 4ㆍ15총선에서 절체절명의 위기에 있던 당이 121석의 의석을 확보했고 이후 지지율이 꾸준히 높아졌던 것이 보람이었다”고 소회를 밝혔다. 한편 박 대표는 이날 퇴임을 앞두고 마지막 최고위원회의를 주재했다. 박 대표는 이날 염창동 당사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7월 전당대회 준비위및 선관위 구성안과 7ㆍ26 재보선 공천심사위 구성안을 의결하는 것을 끝으로 사실상 기본적 당무를 마무리했다. 박 대표는 12일 상임전국위원회의를 소집, 최고위원회의의 이날 의결사항에 대한 추인 절차를 밟은 뒤 퇴임 전날인 15일 최고ㆍ중진연석회의를 열어 고별인사를 할 예정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