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빈손 회담이 된 여ㆍ야의 조찬회동

새누리당 황우여 대표와 민주당 김한길 대표가 가진 18일 조찬회동이 이견차이를 좁히지 못하며 큰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김한길 대표가 5.4 전당대회에서 선출된 후 처음 이뤄진 양당 대표 회동에서 뭔가 의미 있는 결과물이 나올 것으로 기대했으나 최대 현안인 국정원 국조에 대한 입장 차를 좁히지는 못했다.

두 대표는 이날 회동에서 국회의원 특권 내려놓기 법안과 여야 대선 공통공약 및 경제민주화 관련 법안의 6월 임시국회 처리에 노력하기로 합의했다. 하지만 이는 사실상 양당의 지난 4월 합의내용을 재확인한 수준에 그친 것이다.


국정원 국조 문제와 관련해 김 대표는 “여ㆍ야가 이미 국정원 댓글 검찰수사가 종료되는 즉시 국조를 하기로 합의한 만큼 즉각적인 국조 이행을 여당에 촉구하며, 이 요구가 받아들여지지 않으면 여야 협력관계의 마감을 선언할 수밖에 없다” 고 말했다. 이를 두고 민주당 내부에서는 김 대표가 여권에 사실상 ‘최후통첩’을 한 것이라는 평가가 나왔다.

관련기사



새누리당 황우여 대표는 “국정조사 실시와 관련해 여당 내부의 논의를 거쳐 검토하기로 했다”고만 대답했다.

두 대표는 1시간 가량의 회동 시간 대부분을 국정원 국조에 할애했으나 접점을 찾지 못했다. 양측이 평행선을 달리는 주된 원인은 ‘검찰 수사 종료 시점’에 대한 해석상의 차이에 따른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민주당은 원세훈 전 국정원장과 김용판 전 서울경찰청장이 불구속 기소되면서 검찰 수사가 종료됐다는 입장이지만 새누리당은 민주당의 ‘매관공작’ 의혹 등에 대해서는 수사가 시작조차 되지 않았다고 맞서고 있다.

황 대표의 비서실장인 여상규 의원은 “검찰조사가 끝나고 수사를 하기로 한 것은 맞다. 일부는 기소돼 있고 나머지는 수사 중이므로 국조 실시는 관련법에 반한다”고 말했다.

/디지털미디어부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