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쌍용건설 정상화' 꼬인 실타래 풀리나

채권단·군인공제회, 당국 긴급중재로 9일 논의

채권단과 군인공제회가 9일 만나 쌍용건설 정상화 방안을 논의한다.

금융 당국의 긴급 중재에 따른 것으로 채권단이 워크아웃(기업개선작업) 중인 쌍용건설에 대한 자금 지원을 지속하고 군인공제회가 과도한 가압류를 푸는 식의 진전이 이뤄질지 주목된다.

8일 금융계에 따르면 채권단과 군인공제회가 9일 별도로 모임을 갖고 쌍용건설 정상화 방안을 논의할 것으로 전해졌다.


앞서 군인공제회는 쌍용건설 7개 사업장 계좌에 대해 가압류 결정을 내리고 법원이 이를 받아들이면서 전국 150개 사업장에서 공사가 일제히 중단된 상태다. 가뜩이나 경영 정상화가 지지부진하면서 채권단 내부에서 법정관리(기업회생절차)로 가야 하는 게 아니냐는 의견이 제시되는 와중에 군인공제회의 가압류 사태가 터지면서 쌍용건설의 정상화는 더 꼬여 버렸다.

관련기사



이에 협력업체의 연쇄 도산 등을 우려한 금융위원회가 지난 6일 채권단과 군인공제회 관계자들을 불러 원만한 합의가 이뤄지도록 노력할 것을 당부하는 사태로까지 번졌다.

쌍용건설을 살리기 위해서는 양측의 양보가 필수적이다.

쌍용건설은 연말까지 5,000억원의 출자전환이 이뤄져야 자본잠식을 피해 상장폐지를 막을 수 있다. 채권단은 무담보채권이 3,200억원에 불과해 나머지 1,800억원은 군인공제회 등 비협약채권자가 출자전환에 참여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신규자금 지원으로 바로 출자전환을 할 경우 배임 소지가 있다는 게 그 이유다.

주채권은행인 우리은행 관계자는 "군인공제회 등 비협약채권자가 출자전환을 해야 하는데 가압류를 건 상태라 기대하기 쉽지 않다"며 "출자전환뿐만 아니라 신규 자금도 1,200억원가량 필요한 상황에서 비협약채권자가 채권회수에 나서면 다른 채권은행에 지원을 호소할 수 없다"고 말했다. 그는 "현재로서는 군인공제회가 키를 쥐고 있어 우리도 난감하다"며 "쌍용건설이 법정관리로 갈 경우 채권단뿐만 아니라 비협약 업체에도 좋을 게 없는 만큼 중지를 모아야 한다"고 말했다.


이상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