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외칼럼

[기고] 원전의 수명


지난 1962년 어느 날 당시 미국 대통령 존 F. 케네디가 참모들에게 "소련의 우주인 유리 가가린을 능가할 획기적인 아이디어가 없느냐"며 다그쳤다. 당황한 참모들 가운데 한 사람이 즉흥적으로 "우리가 달나라에 먼저 가면 되지 않겠습니까"라고 대답한 지 얼마 안 돼 케네디 대통령은 10년 안에 미국은 달에 우주비행사를 보낸다고 언론에 공표해버렸다. 물론 미 항공우주국(NASA)이나 과학기술 참모들과 상의 없이 혼자 생각한 것을 발표했고 그 후 수많은 희생과 예산을 들여 1969년 7월18일 아폴로11호를 타고 간 닐 암스트롱이 달나라에 인류 최초로 발자국을 남길 수 있었다. 케네디 같은 불도저식 대통령이 없었다면 오늘날 인류의 외계탐험과 군사기술은 어떻게 됐을까. 美 우주왕복선 상업화 박차 달∙화성 등 외계탐험에 가장 중요한 단계는 지구 주위를 회전하는 인공위성이고 가장 큰 인공위성은 미국과 러시아가 공동관리하는 국제우주정거장(ISS)이다. ISS선을 왕복하는 셔틀을 설계해 마치 인천과 LA를 왕복하는 B777 여객기처럼 계속 사용하는 비행선을 지난 30년간 운영해왔는데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의 조치로 그 셔틀 운행을 올 7월22일로 끝내기로 결정했다. 때마침 미국 정부와 의회에서는 부채상한 문제로 격심한 언쟁이 미국을 불안하게 만들었고 전세계가 미국의 경제력을 의심하고 있을 때였다. 그러나 셔틀 운행을 중단하는 이유는 정작 다른 데 있다. 미국 정부의 전문가들과 NASA 기술자들은 이제 더 이상 정부가 관여할 업종이 아니고 민간 기업이 담당할 시대가 왔다는 결론을 내린 것이다. 즉 달나라 여행이 민간 여행사와 민간 우주왕복선으로 교체돼 상업화할 시대가 됐다는 신호라고 볼 수 있다. 달나라 여행에는 소유즈와 같은 지구 인공위성과 달 주위를 도는 달 인공위성을 중요한 징검다리로 삼아 그 사이를 나르는 셔틀을 민간 기업이 제작∙운영하고 수십 명의 여행객과 조종사∙승무원이 탑승하는 우주항공사가 설립될 것이며 셔틀을 쏘아 올려주는 초대형 로켓 발사시설도 민간 기업으로 전환돼 로켓 발사만 전문으로 해주는 기업도 생길 것이다. 지금까지 군사 목적으로 사용하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기술도 수익을 목적으로 한 경제설비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북한에서 개발한 노동3호 로켓과 남한에서 개발한 나로호의 기술이 합작돼 굶주리는 북한 경제에 도움이 되고 북한으로 하여금 무기 제작보다 수익성 있는 경제설비가 더 현명한 방법임을 체득하게 하는 기회가 되기를 바란다. 달나라는 지구와 전혀 다른 환경에 있다. 그 환경에 맞는 호텔을 설계∙건축해야 한다. 지구를 둘러싼 대기와 같은 조건이 달에는 거의 없으므로 인류가 거기서 생존하려면 지구와 같은 공기와 압력을 유지하는 거대한 돔 구조물을 건축해야 하고 그 구조물 부품을 하나씩 수송해 달에서 우주인들이 조립해야 한다. 남북 우주사업 협력 나설때 돔 구조물을 건설하기 전에도 지구상의 등산용 텐트와 같은 개인용 장비가 필요하다. 이 텐트는 지구상의 대기압과 꼭 같은 내부 압력을 유지해야 하고 공기도 지구에서 압력용기로 가져온 것을 쓸 수밖에 없다. 마치 지구상의 장거리 여객기가 고도 1만1,000m로 오를 때 압력 객실의 기술을 활용하는 것과 비슷하다. 우리나라의 중소기업이 파고들 수 있는 부품 업종이 1,000개도 넘을 것이다. 예를 들면 암스트롱과 버즈 콜린즈가 입었던 우주복은 7~8겹의 각종 천으로 만들어져 인류를 각종 우주방사능과 압력∙열 등에 견디도록 했다. 이 복합천을 잘라 봉제하는 특허를 내 판매하는 방법도 좋은 품목이 될 수 있다. 우리 중소기업들은 봉제에 탁월한 기술이 있다. 정부의 중소기업 관련 기관은 이런 업종에도 투자할 가치가 있다고 본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