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바이오

수면무호흡증, 치주질환 발생 가능성 높여

수면 중 주기적으로 호흡을 멈추는 수면무호흡증이 치주질환 발생을 증가시킨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고려대 안산병원 수면장애센터의 신철 교수팀은 안산 지역에 사는 남녀 403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수면무호흡증이 있는 경우 치주질환 발병률이 2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19일 밝혔다. 수면무호흡장애는 수면 중 10초 이상 숨을 쉬지 않는 무호흡이 한 시간에 5회 이상 발생하는 질환을 말한다. 연구팀이 ‘치주낭 탐침(치아와 잇몸 사이의 깊이)’ 정도로 치주질환 여부를 평가한 결과 수면무호흡 환자의 치주낭 탐침 깊이가 일반인에 비해 3.58배 깊은 것으로 나타났다. 치주 염증이 치주낭을 깊게 만들기 때문에 치주낭 탐침 깊이는 치주질환의 진행 정도를 알려주는 척도라는 것이 연구팀의 설명이다. 또 치주질환을 일으키는 플라크, 치태 등의 부착 정도를 나타내는 ‘임상부착수준’도 일반인보다 1.75배가량 높았다. 신 교수는 “수면무호흡 환자의 경우 입을 벌리고 자게 됨으로써 구강상태가 건조해지고 세균 침투 및 번식이 쉬워져 치주질환이 더 많이 발생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