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소득대비 집값 부담 “서울,지방도시 2배”/주택연구소 조사발표

◎임대료 비중도 47%… 타도시 1.5배서울등 대도시 거주자들의 소득대비 주택가격이 기타지역보다 두배 이상 높은 것으로 조사돼 서울 등 수도권지역에 대한 대규모 주택공급을 통한 주택가격 안정이 시급한 것으로 지적됐다. 28일 주택공사 부설 주택연구소가 발표한 「경제·사회환경변화가 주택소비·점유 형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에 따르면 서울지역 자가가구의 소득대비 아파트가격 배수(PIR:Price to Income Ratio)가 7배인 반면 여타 지방도시는 3.6∼3.8배 정도인 것으로 나타나 두배 이상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월소득에서 임대료가 차지하는 비중을 나타내는 RIR지수도 서울의 경우 47%로 타도시의 25∼31%에 비해 1.5배 정도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주택연구소는 특히 서울외 지역에서는 아파트값이 단독주택보다 낮고 규모도 적어 지금까지 주택가격 상승은 서울 및 수도권, 주택유형으로는 아파트가 주도한 것으로 분석했다. 주택의 일부를 사용하는 일부임차가구 비율은 서울 54%, 대구 56%로 절반 이상이었으며 특히 단독 및 다세대주택 임차가구의 70%가 일부임차가구여서 주거여건 개선이 시급한 것으로 이 연구서에서는 지적하고 있다. 주택구입시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인으로는 자가가구의 52%, 임차가구의 49%가 「주변환경요인」을 꼽았다. 이밖에 주택가격(11%), 자녀학군(10%), 직장까지의 거리(9%)도 주택구입시 중요한 결정요인이었다. 임차가구들은 일정기간 임대후 분양전환되는 주택과 일반주택의 임차를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이 연구논문은 밝히고 있다. 특히 주공 등이 공급하는 영구임대주택에 대한 선호도는 19%, 부산 28%로 나타난 반면 민간영구임대주택 선호는 서울 9%, 부산 13%로 상대적으로 낮았다. 한편 임차가구의 90% 정도가 임대료 지불방식으로 전세를 선호했으며 이는 월세의 경우 전세보다 오히려 높은 이자율이 적용되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주택연구소 임승직 선임연구원은 『계층간 주택소유에 따른 격차를 줄이기 위해서는 앞으로 공공부문에 의한 임대주택 공급을 더욱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정두환>

관련기사



정두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