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중 자동차 산업‘먹구름’/할부 구입정책 무기연기등 규제‘걸림돌’

◎올 생산량 작년수준… 재고량도 급증중국 자동차 산업에 먹구름이 드리우고 있다. 최근 중국 정부는 주축산업을 기존의 주택에서 자동차로 바꾸면서까지 자동차 산업에 경제의 미래를 걸고있지만 올해 자동차 생산량은 90년대 들어 처음으로 제로성장을 할 것으로 전망된다. 승용차의 경우 올 전반기 재고량이 지난해 생산량의 3분의 1이 넘는 11만6천대로 늘어나면서 승용차업체의 공장가동률이 절반에 그치고 있다. 지난해 자동차 생산량은 1백50만대. 자동차 생산 성장률이 당장 올해부터 제자리 걸음을 하고있어 2천년 2백70만대, 2천10년 6백만대 생산이라는 중국정부의 야심찬 목표는 비현실적이라는 지적이 비등하다. 중국 자동차 생산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폴크스바겐의 장춘 공장은 올 목표치를 당초의 5만대에서 2만4천대로 줄여잡았지만 이마저도 성패가 불확실하다. 자동차시장 불황은 당국의 지나친 규제가 1차 원인이다. 규제의 대표적 예는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이 인플레우려와 관련법규 미비를 이유로 자동차 할부구입 정책을 무기연기한 것이다. 이에 대해 폴크스바겐사와 합작투자를 하고있는 제일자동차 공업사의 우 웨이 부사장은 서방의 자동차판매중 80%가 할부인 점을 강조하면서 당국에 정책 재고를 적극 요구하고 나섰다. 중국 당국의 긴축정책과 소비자금융부족은 자동차구매 급감으로 이어져 자동차업체들은 신설 공장을 가동시키지도 못할 뿐 아니라 설비확장을 하면서 대출받았던 은행대출금 상환에도 어려움을 겪고있다. 실제 폴크스바겐은 12억마르크를 들여 장춘에 자동차합작 공장를 건설했지만 아직 공장가동 여부도 불투명한 상태에서 내년부터는 대출상환을 시작해야한다. 자동차산업 성장의 또 다른 걸림돌은 과중한 세금. 부가가치세, 도로세 등을 포함해 많게는 자동차구매 가격의 75%까지 세금이 부과되고 있다. 소비자 금융제도가 일천해 가뜩이나 돈줄이 막혀있는 중국소비자들에게 이같은 엄청난 세금이 자동차 구매력 저하로 이어지는 것은 당연한 이치다. 전문가들은 자동차 판매가 정체상태에 있다고 전제, 당국이 새로운 자동차공장설립을 97년까지 금지하겠다는 지난 94년의 신자동차산업정책을 97년 이후까지 연장할까봐 걱정하고 있다. GM, 도요타 등 외국업체들은 중국시장의 잠재력이 엄청나다며 중국시장 선점을 위해 애쓰고 있지만 그 잠재력이 아직 물밖으로 떠오르지 않고있다.<이병관>

관련기사



이병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