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실

[9·3 개각] 임태희 노동 "노동현안 해결하겠다"

건강한 노사문화가 경제활력의 출발점<br>내각 입성 與의원 3인방 인터뷰

“제일 어렵고 힘든 노동 현안을 맡아서 해결해내라는 인사권자의 뜻으로 알겠습니다.” 3일 노동부 장관에 지명된 임태희 한나라당 의원은 결연한 의지를 내보였다. 그는 이명박 대통령의 당선인 시절 비서실장을 맡았던 때부터 합리적이고 꼼꼼한 일처리로 신임을 받았다. 이 때문에 개각설이 돌 때마다 정치인 입각 후보 1순위로 꼽혀왔으며 본인도 장관을 향한 포부를 밝혀왔다. 그는 “당선인 비서실장, 당 정책위의장을 맡았던 사람으로서 어렵고 힘든 일을 해야 하지 않나 각오를 했었다”며 마음의 준비를 하고 있었다는 사실을 내비쳤다. 16대부터 성남 분당에서 내리 3선을 한 그는 18대 국회 들어 한나라당의 첫 정책위의장을 지냈다. 청와대와 정부ㆍ당 사이에서 유연한 사고와 일처리로 중도 실용주의를 구현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그는 이 대통령의 친형인 이상득 의원과 가까운 것으로 알려졌다. 항상 신사적인 태도를 견지해 야당이나 당내 인사들로부터 신망이 높다. 정책위의장 시절 모든 현안을 일일이 챙기는 습관은 이 대통령과 비슷하다는 지적을 받기도 했다. 온화한 성품 속에서도 자기 주장은 강한 편이다. 지식경제부 장관으로 함께 입각한 최경환 의원과는 정책위의장과 수석정조위원장으로 1년간 손발을 맞췄다. 노동계 문제에는 낯설지 않다. 정책위의장 시절 비정규직 문제, 공공기관 인력감축 등을 조정했기 때문. 특히 비정규직법의 경우는 법률이 의무고용연한을 못 박지 않고 직종에 따라 노사가 기간을 합의할 것을 주장해왔다. 당시 노동부와 한나라당이 4년 연장안을 굳혀갈 때 “모든 사업장에 획일적으로 4년 연장을 밀어붙여서는 안 된다”고 반대했었다. 이명박 정부의 두번째 노동부 장관으로 지명된 그 앞에는 쉽지 않은 길이 놓여 있다. 비정규직 개정안을 비롯, 복수 노조 허용과 노조 전임자 임금지급 금지 등은 하반기 그가 풀어야 할 숙제다. 그는 어려움을 인정했지만 자신감은 잃지 않았다. 임 내정자는 “건강한 노사문화가 일자리 창출, 근로자 행복, 경제활력의 출발점”이라면서 “노동계와 경영계가 머리를 맞대고 논의하면 해결할 수 있다”고 확신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