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8·31 부동산대책] 부동산부자들은 일단 관망세

부동산 부자들은 31일 발표된 정부의 부동산종합대책에 대해 이미 언론 등을 통해 윤곽을 많이 파악한 상태여서 일단 관망세를 유지하고있다. 은행 PB(프라이빗뱅크)에는 정부정책과 관련해 부동산을 당장 팔기 위해서는 아니지만 어떤 방식을 취하는 게 손해를 덜 볼지에 대한 상담이 늘고 있다. 하나은행 김일수 PB 부동산팀장은 “우선 강남에 사는 고객들은 관망세를 유지하고 있다”며 “이들은 오늘 발표된 정부대책의 윤곽을 언론을 통해 이미 파악하고 있어 어떻게 하는 게 나을 지에 대한 상담 전화를 해오고 있다”고 말했다. 김 팀장은 “그러나 내달 이후부터는 자산가치가 낮은 아파트나 주택부터 처분하는 등 본격적인 액션을 취할 것으로 관측된다”고 덧붙였다. 신한은행 고준석 부동산팀장도 “부동산대책이 나오기전 부터 부자들의 움직임은 보폭이 그리 크지는 않다”며 “이는 투자수익을 내기 위해서가 아니라 자산을 자식들에게 안전하게 이전해 주는 방편으로 부동산을 사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즉, 증여용으로 산 것이기 때문에 정부대책에 따라 쉽게 오락가락 하진 않는다는 설명이다. 국민은행 박합수 PB사업팀장은 “현재로선 부동산 부자들이 특별한 반응을 보이지 않고 있다”고 전했다. 박 팀장은 특히 이번 대책은 1가구 2주택인 중산층들에게 타격을 입힐 것이라며 1가구 3주택자 이상의 부유층은 대출을 받지 않았으므로 금감원의 주택담보대출 제한조치에도 영향을 받지 않고 양도세도 팔지 않으면 부담할 일이 없다고 말했다. 그는 “이에 따라 부동산 부자들은 일단 버텨보려 할 것이지만 중산층들은 1년의 유예기간 내에 매각하게 될 것”이라며 “이 경우 부유층이 살고 있는 강남보다는 중산층들이 살고 있는 목동 등 강서지역, 뚝섬을 포함한 성동.광진 지역 등과 같은 곳에서 매물이 쏟아질 것”으로 내다봤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