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서울경제TV] 넘치는 빈사무실… 금융위기후 최악

[앵커]

전국 여기저기 빈 사무실이 넘쳐나고 있다고 합니다. 신축 건물은 계속 공급되는데 반해 경기 악화로 사무실 수요가 줄어들고 있기 때문인데요. 보도국 양한나기자와 함께 자세한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안녕하세요.


[기자]

네 안녕하세요.

[앵커]

전국에 빈 사무실이 넘쳐나고 있다면서요?

[기자]

네. 사무실이 밀집한 서울 강남과 여의도와 같은 도심 지역도 빈 사무실이 수두룩하고요. 지방은 더 심각한 상황입니다.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전국의 사무실 건물 공실률은 13.1%로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최악인 모습입니다. 2008년 당시 공실률은 5.4%로 지금의 40% 수준에 불과했습니다.

서울의 공실률은 11.1%로 전국 수치보다 조금 낮지만, 2008년 당시 3.8%였던 것에 비교하면 세 배 가까이 높은 수준입니다.

임대료가 비싼 큰 건물의 사정은 더욱 좋지 않습니다. 서울권 중소형 건물의 공실률은 10%인 데 반해 대형 건물은 13.1%로 평균치보다 높은 수치입니다. 권역별로 보면 도심권이 12.3%로 공실률이 가장 높고 다음으로 강남권 10.8%, 여의도·마포권 9.2%, 기타지역 8.2% 순으로 높습니다.

지방 형편은 더욱 심각한 상황입니다. 부산, 대구는 공실률이 15~16% 선이고 인천, 광주는 18%대, 대전은 21%가 넘습니다. 임대료를 제대로 받기 위해 공실이 없는 것으로 위장하는 경우가 많아 실제 사정은 더욱 좋지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앵커]


이렇게 공실률이 넘쳐나면, 어떻게든 사무실을 채우기 위해 임대료가 낮아지지 않나요?

관련기사



[기자]

네. 그런데 빈 사무실이 넘치는데 반해 임대료는 크게 떨어지지 않았습니다. 올 상반기 전국의 사무실 건물 임대료는 ㎡당 1만4,800원이었는데요. 2008년 때 1만5,000원이었던 것을 비교하면 별로 낮아지지 않은 수치입니다. 하지만 이 기간 서울은 1만8,600원에서 2만500원으로 올랐습니다. 대형건물 관리업체들이 빈 사무실이 생기더라도 오히려 임대료를 올리기 때문이라고 하는데요. 자산관리회사가 운영하는 대형건물은 공실이 생겨도 몇 달치 임대료를 면제해주는 ‘렌트 프리(rent free)’ 방식으로 수익률을 감안한 적정 임대료를 고수해왔습니다.

하지만 사무실 임대 경기가 계속해서 안좋아지자 그런 관행이 깨지는 분위기입니다. 2012년 고점을 찍은 뒤 서울의 임대료는 보합세를 유지하는 모습입니다.

[앵커]

대형건물은 그렇다 해도 그보다 작은 건물들은 원래 임대료를 고수하기 힘들텐데요?

[기자]

네 그렇습니다. 그래서 사정이 좋지 않은 중소건물들은 임대료를 내려서라도 빈 사무실을 채울 수 밖에 없습니다. 아예 비워두는 것보다 얼마라도 세를 받는 것이 이득이기 때문입니다.

업계 관계자에 따르면 공실률이 10%만 넘어가도 수익성이 크게 악화된다고 합니다.

[앵커]

그럼 이렇게 빈 사무실이 넘쳐나는 이유가 뭡니까?

[기자]

업계에서는 빈 사무실이 크게 늘어난 주요 원인으로 신축 건물이 너무 많이 공급됐기 때문이라고 하는데요. 자산관리업체 신영에셋에 따르면, 서울과 분당권에서 2010년부터 2014년까지 5년간 총 900만㎡ 규모의 사무실이 공급됐습니다. 이는 연평균 180만㎡ 의 사무실이 건립된 셈인데요. 이는 63빌딩의 약 11개 규모에 2001~2009년의 연평균 공급물량 83만㎡의 두 배가 넘는 수치입니다.

지금도 사무실 물량이 넘쳐나는 데 수많은 대규모 개발 프로젝트가 전국에 대기 중인 상황입니다. 대표적으로 상암DMC, 판교 제2테크노밸리, 강동첨단업무지구, 마곡산업단지 등인데요. 전문가들은 “주택시장과 마찬가지로 임대 사무실도 수급상황에 맞춰 공급물량을 조정하는 시스템 구축이 시급하다”고 입을 모으고 있습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