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자영업자 10가구 중 7곳 “빚 갚기 힘들다”

통계청, 가계금융·복지조사 분석

금융부채가 있는 자영업자 10개 가구 중 7곳은 사실상 빚을 갚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침체가 장기화하자 원리금 상환 부담에 가처분 소득이 줄어드는 악순환에 빠진 탓이다.

21일 통계청은 2012년 가계금융·복지조사에서 자영업자 부문을 분석한 ‘자영업자 가구의 현황과 특징’을 발표했다.


이 분석자료에서 두드러지는 점은 자영업자 빈곤율이 일반근로자의 3배라는 사실이다.

원리금 상환이 생계에 주는 부담과 관련, 자영업자 가구는 ‘매우 부담스럽다’는 응답이 27.8%, ‘약간 부담스럽다’는 응답이 44.5%였다. 자영업자 가구의 72.3%가 원리금 상환에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2012년 3월말 자영업자는 모두 459만2,000 가구다. 가구당 7,786만원의 빚을 지고 있으며 금융부채가 76.3%를 차지했다. 이 비율은 상용근로자 가구에서 64.8%(부채 5,794만원·금융부채 3,752만원)로 상대적으로 낮다.


원리금 상환이 부담스럽다고 응답한 가구의 79.3%는 가계의 지출·저축·투자를 줄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련기사



이와 관련, 처분가능소득 대비 원리금상환액 비율(DTI)은 23.1%였는데, 쓸 수 있는 돈의 5분의 1은 빚 갚기에 들어간다는 의미다.

재무건전성도 나빴다. 자영업자 가구의 처분가능소득 대비 금융부채비율은 146.1%로 모든 종사상 지위별 가구에 견줘 가장 높았다.

빈곤율은 2011년 기준 13.1%에 달했다. 빈곤율은 중위소득 50% 미만인 계층이 총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의미한다. 상용근로자의 빈곤율은 4.4%에 그친다.

특히 부채상환이 불가능한 자영업자는 7.7%로, 상용근로자(3.5%)보다 4.2%포인트 높았다.

1년 뒤 전망은 더욱 심각했다. 자영업자 가구 중 1년 후 부채가 감소할 것으로 전망한 비율은 35.3%에 그쳤다. 나머지는 부채수준이 그대로 유지되거나 오히려 늘어날 것으로 내다봤다.

이처럼 자영업자의 가계부채 문제가 심각한 것은 경기악화로 사업소득이 악화하면서 금융부채 상환이 어려워지는 악순환이 이어지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디지털미디어부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