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서울시 공공자전거 민간관리업체에 맡기기로

서울시가 공공자전거 시스템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 민간업체에 위탁한다. 29일 서울시에 따르면 다음달 중순께 공모를 통해 민간 사업체를 선정한 뒤 내년 3월부터는 공공자전거의 운영 전반을 민간에 이임할 계획이다. 민간업체와의 계약은 2년 단위로 하기로 했다. 서울시가 전담해 운영해 오던 기존 방식에서 탈피해 민간 위탁을 통해 수익 창출을 적극적으로 유도하겠다는 전략에 따른 것이다. 서울시는 지난해 11월 도입 이후 공공자전거에 연간 10억 원의 예산을 투입하고 있지만 수익은 1억 2,000만원 수준에 불과해 재정에 부담이 돼 왔으며, 재정 부담을 완화시키기 위한 효율적 관리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돼 왔다. 임동국 서울시 보행자전거과장은 “업체에 운영을 이임하는 첫해에는 연간 예산의 20~30% 정도를 운영관리비로 지원할 방침”이라며 “민간 사업자의 효율적 관리로 수익이 창출되면 이후에는 지원을 줄여 나가겠다”라고 전했다. 임 과정은 “별 다른 성과가 없으면 계약이 끝나는 2년 뒤 다시 공모를 통해 새로운 사업체를 선정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서울시는 지난해 11월 여의도와 상암동 일대를 중심으로 공공자전거 시스템을 도입했다. 교통카드ㆍ신용카드 등으로 요금을 결제하고 이용하는 공공자전거는 상암 디지털미디어시티(DMC)와 여의도 일대 43개 보관소에서 440대가 운영되고 있다. 현재 공공자전거 이용 건수는 22만 660건(11월 28일 기준)에 이른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