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바이오

[건강관리] "이럴 때일수록 가족과 화목 다지세요"

가라앉는 주가·치솟는 대출이자에 잠못 드는 당신<br>금융쇼크 스트레스 관리 어떻게


지난해 말 주식시장이 절정에 달했을 때 대출을 받아 주식과 펀드에 투자했던 최모(42)씨는 요즘 밤잠을 이루지 못한다. 패닉에 빠진 주식시장 때문에 투자원금의 80% 가량을 까먹은데다 대출이자를 감당하기가 벅차기 때문이다. 아내에게 말도 못하고 아무것도 모른채 웃는 아이들의 얼굴을 보노라면 눈물이 날 지경이다. 주식투자 실패로 자살했다는 사람의 얘기가 남의 일 같지 않다. 주식ㆍ집값이 폭락하고 대출이자가 하늘 높은지 모르고 치솟는 등 경제상황 악화로 인한 직장인들의 고통은 이만저만이 아니다. 정신과 전문가들은 이럴 때일수록 극단적인 생각을 하기보다는 차분하게 '내가 왜 투자에 실패했는가'를 돌아보고 가족과 함께 난관을 헤쳐 나가는 지혜가 필요하다고 조언한다. 현대 한국인에게 돈은 가장 중요한 삶의 목표이고 하루의 행동을 결정하는 주된 요인이다. 돈과 직장 문제는 우리나라의 교육ㆍ노사ㆍ계층갈등 문제를 설명하는 요소다. 하루가 다르게 어려워지는 경제적 어려움을 심리적으로 어떻게 극복하느냐 하는 것은 자신의 정신건강, 가정의 평화, 사회의 안정을 위해 중요한 주제다. 스트레스는 모든 질병의 원인이다. 경제적 문제로 야기된 스트레스는 건강까지 위협할 수 있다. 돈 잃고 건강도 잃는 상황이 될 수 있다. 주식ㆍ펀드 투자를 하지 않아 금융쇼크를 강건너 불구경하는 사람들도 경제위기에 따른 불안으로 스트레스를 받는 요즘이다. 수많은 주식ㆍ펀드 투자자들이 받는 스트레스의 강도는 상상을 초월한다. 우리 몸의 면역시스템을 저하시켜 각종 질병에 노출될 위험이 높아지고 피로해지며 판단력이 흐려진다. 따라서 극심한 스트레스를 줄여 건강관리를 잘 하는 게 무척 중요하다. 경제적 손실을 만회할 수 있는 기회도 정신ㆍ육체적 건강, 냉철한 판단력이 있을 때 가능하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극심한 금융쇼크로 인한 스트레스를 어떻게 관리해야 할까. 홍진표 서울아산병원 정신과 교수는 "최근 경제적 실패로 자살을 생각하거나 시도한 사람들을 많이 본다. 경제적으로 실패해 현실이 고통스러울 때 자살을 생각할 수 있지만 자살할 이유가 될 수는 없다"며 "통상적으로 신용불량 등으로 고통을 당하는 사람들이 3개월만 지나면 새로운 현실에 적응하여 잘 살아가곤 한다. 이럴 때일수록 스트레스를 담담히 받아들이는 등 차분한 대처가 필요하며 실패에서 교훈을 얻으려 노력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 금융 스트레스 극복 위한 전문가 제안 ◇자신이 경제 관련 스트레스를 어떻게 대처하고 있는지 살펴본다. -어려운 시기가 되면 가족 간의 갈등이 심해지고 친지와의 관계도 소원해지는 경우가 많다. 술ㆍ담배가 늘고 주위 사람에게 화를 잘 내며 지출 우선순위 문제로 가족 간에 갈등이 생기기 쉽다. 자신이 경제 스트레스에 부적절하게 대처하고 있다면 스스로 극복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어렵다면 정신보건센터 등에서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실제로 경제관련 문제로 정신과 의사들과 상담해 정신의학적 안정을 되찾는 사람들을 흔히 볼 수 있다. 이들은 일반인들이 흔히 말하는 정신질환자가 아니다. ◇공포스러워하지 말고 잠시 휴식기를 갖는다. -신문ㆍ방송에서 경제에 대한 각종 공포스런 인터뷰나 전문가 의견이 쏟아진다. 전문가들은 원래 뒷북에 능한 사람들이고 미디어는 다소 자극적ㆍ극단적인 내용을 보도한다는 사실을 기억하자. 큰 손실을 입었고 더 어려워질 것이라는 생각에 빠지면 불안하고 우울해져서 결국 자신의 건강만 악화된다. 일상적인 하루의 즐거움과 편안함을 잃지 않으려고 애써야 한다. ◇가족과 함께 이야기하고 공감하라. -오히려 지금의 어려움이 가족 간의 사랑을 더욱 돈독히 하는 원동력이 되기도 한다. 어리석은 사람은 자신의 어려움을 원망하고 고통스러워하지만 현명한 사람은 어려움을 겪는 과정을 통해 교훈을 얻고 가족 간의 우애를 다지는 계기로 삼는다. ◇자신의 경제상황을 냉철히 분석하고 대처방법을 모색하라. -자신의 자산과 손실, 현재 급박한 문제 등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전문가들과 상의해 대책을 세운다. 전문가들과 상의하다 보면 문제가 그렇게 심각하지 않다는 생각을 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 경비를 줄이고 가정경제를 효율적으로 운영하는 방법을 가족과 협의하다 보면 자신은 물론 자녀에게도 좋은 체험이 될 수 있다. ◇지금의 위기를 성장ㆍ발전의 계기로 삼아라. -경제적 어려움을 겪을 때 비로소 자신을 성찰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되는 경우가 많다. 돈이 자신의 삶에서 차지했던 비중에 대해 살펴보고 삶에서 돈이 아닌 중요한 가치에 대해 생각해 본다. 산책ㆍ운동ㆍ대화를 많이 하고 삶의 의미에 대해 생각해 본다면 현재의 경제적 어려움은 먼 여정의 짧은 험로로 여겨질 수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