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금리 상승기엔 '안정'보다 '수익'

금융환경 변동기 '돈굴리기'<br>카드사 최고 300만원 보너스 포인트 제공<br>은행등 세무전문가 영입 '稅테크' 정보도<br>특판예금-저축銀금리 6%대 눈앞…시중은행보다 1%P 높아<br>변액보험-장기투자 상품으로 제격…비과세 혜택·수수료 절감



꿈쩍도 안할 것같던 저금리 기조가 흔들리고 주식시장이 활황세로 돌아서는 등 금융환경이 변하고 있다. 말그대로 재테크에도 변신이 필요한 시점이다. 저금리, 증시침체시기에 필요한 전략이 ‘안정성’이라면 금리상승, 증시상승기에는 ‘수익성’이 기본이라는게 재테크 전문가들의 조언이다. 은행권의 경우 특판예금 바람이 다시 불고있다. 일부 시중은행들은 1년만기 특판예금 금리가 벌써 연 5%를 웃돌고 있으며 저축은행의 경우 곧 6%대 진입을 눈앞에 두고 있어 관망세가 필요한 시점이다. 내년 상반기까지 지속적인 미국의 금리인상 전망으로 당분간 금리 상승세가 계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신한은행 한상언 재테크팀장은 “최근 진행되고 있는 은행권 특판예금 행사는 연말까지 지속되다가 잠시 숨고르기에 들어갈 가능성이 높아 적극적으로 특판예금에 가입해볼 만하다”고 말했다. 광주은행은 연말까지 광주 및 전남지역 고객을 대상으로 최고 연 5.1%짜리 특판예금을 3,000억원 한도 내에서 판다. 개인의 경우 ▦1년 이상∼2년 미만 연 4.6% ▦2년 이상∼3년 미만 연 4.8% ▦3년 이상 연 5.1%가 적용된다. 특히 저축은행 상품은 주의깊게 눈여겨볼만하다. 저축은행들은 최근 신규지점을 낼때마다 특판예금를 출시하고 있으며 금리가 5.4%, 5.5%대를 넘어 6%를 눈앞에 두고 있다. 상호저축은행중앙회 관계자는 “중앙회 홈페이지에 들어오면 전국 주요 저축은행의 상품 금리를 쉽게 살펴볼 수 있다”면서 “부지럼을 잘 떨면 금리혜택을 볼 것”이라고 강조했다. 현재 한국, 진흥저축은행 계열회사인 경기저축은행이 수원지점 오픈을 기념해 저축은행권 최고인 연 5.8%의 이자상품을 출시한 상태다. 보험 재테크도 단순 ‘적립’에서 ‘투자’로 바뀌어가고 있다. 변액보험 열풍이 그 예다. 변액보험은 계약자가 낸 보험료의 상당 부분을 펀드에 투자해 그 수익금으로 보험금을 지급하는 상품이다. 현재 종신보험과 연금보험형 변액 외에도 해약 환급금의 일정 범위 내에서 돈을 꺼내쓸 수 있는 변액유니버설보험과 생명보험에 건강보험 성격을 가미한 변액CI(Critical Illness·치명적 질병)보험 등이 있다. 생명보험협회에 따르면 2005회계연도 반기(4∼9월) 동안 국내 22개 생명보험사가 거둬들인 변액보험 수입보험료는 2조8,308억원으로 2004회계연도 전체(2004년 4월∼2005년 3월) 수입보험료 2조2,788억원을 넘어섰다. 변액보험은 단기 투자 후 보험을 해약하면 납부 보험료에 훨씬 못 미치는 환급금을 돌려받을 수 밖에 없다. 가입 2년 이내에 해약할 경우 거의 전액을 포기해야 하고 7년이 넘어야 이익이 된다. 말 그대로 장기투자형 상품. 펀드운용 수수료도 연 0.5∼0.8% 정도로 적립식펀드 수수료 2.5%보다 저렴한 것이 장점이다. 변액보험은 증시 상황 및 금리 변화에 따라 약간의 수수료만 부담하면 주식형 펀드에서 채권형 펀드,또는 채권형 펀드에서 주식형 펀드로 갈아탈 수 있다. 10년 이상 보험을 유지하면 보험 수익에 대해 비과세 혜택이 주어진다. 카드사 이벤트를 잘 이용하면 예상치 못한 선물을 기대할 수 있다. 삼성카드는 연말까지 전국 3만여개 ‘보너스클럽’ 가맹점에서 2만원 이상 결제시 매출전표 승인번호에 숫자 ‘3’이 나오는 갯수에 따라 최고 300만원에 해당하는 보너스 포인트를 제공하는 이벤트를 펼친다. 비씨카드는 회원 7만5,000명에게 유럽여행권 등 다양한 경품을 제공하는 ‘TOP포인트 연말 보너스 대축제’를 벌인다. 신한카드는 자사 기부전용 사이트인 아름인(www.arumin.co.kr)을 통해 적립 포인트와 신용카드 결제로 정치자금을 기부하는 서비스를 시작했다. LG카드는 12월20일까지 포인트 가맹점 2곳 이상을 이용한 회원 가운데 342명을 추첨해 TV 냉장고 등 경품을 제공하는 ‘마이 LG포인트 사은행사’를 벌인다. 한편 연말정산에다 종합소득세 부과시점이 다가오면서 ‘세테크’ 역시 충실한 재테크 대상이다. 고액자산가들은 은행권 프라이빗뱅킹(PB)을 이용하면 전문가들의 조언으로 세금 아끼기에 성공할 수 있다. 은행권에서는 우리은행이 국세청 출신 전문가 6명을 보유중이다. 우리은행은 내년에도 3명을 추가로 영입해 부산, 대전등 지역 VIP의 수요를 맞출 계획이다. 우리은행 관계자는 “서울 명동의 우리금융프라자를 이용하면 은행, 보험, 증권상품을 한꺼번에 이용이 가능하고 세무, 부동산 전문상담도 가능해 잇점이 많다”고 강조했다. 신한은행은 올해 세무사 4명을 채용하는 등 은행권에서 일제히 세무 전문가 영입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보험권에서는 삼성생명과 교보생명이 국세청 출신 전문가를 활용해 자산관리서비스를 실시하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