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한국, 석유·가스 자주개발률 15%대로

[UAE원유 12억배럴 확보] 적극적인 자원 외교 등 결실… "에너지 안보 안층 강화" 평가


UAE 유전 확보를 계기로 우리나라의 석유ㆍ가스 자주개발률은 15%대로 훌쩍 뛰어오르게 됐다. 최근 리비아 반정부 시위 등으로 국제원유시장 상황이 불안정한 가운데 국가 에너지 안보를 강화하게 됐다는 평가다. 정부는 내년 말까지 자주개발률을 20%로 끌어올릴 계획이다. 자주개발률 급상승은 에너지공기업 대형화, 적극적인 자원외교, 과감한 에너지 기업 인수합병(M&A) 등의 정책이 결실을 맺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번 정부 들어 예산 등 각종 지원과 함께 자원개발 관련 인적ㆍ물적 자원 투입을 늘려나가면서 지난 2007년 4.2%였던 자주개발률은 지난해 말 10%대(10.8%)로 높아진 데 이어 다시 15%로 급상승하게 됐다. 이명박 대통령은 임기 말까지 자주개발률 20%를 반드시 이루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20%’의 의미는 위기가 닥쳤을 때 우리나라 에너지 수급에 숨통을 틔워줄 수 있는 전략적 완충 수준이다. 2007년을 기준으로 이탈리아 48%, 일본 22.4%, 중국 27%(08년) 등 주요국들은 이미 20% 이상을 상회했다. 지식경제부 관계자는 “UAE뿐 아니라 이라크 등 주요 전략지역을 지속적으로 공략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아부다비 원유 600만배럴을 우리나라 비축시설에 무상 저장하고 유사시 우리나라가 사용하도록 합의한 것도 에너지 외교의 윈윈 사례로 평가된다. 우리로서는 별도 예산 없이 7,000억원 규모의 전략 비축유를 확보하고 아부다비로서는 저장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됐다. 특히 아부다비 정부가 한국 정부의 요청을 받아들여 앞으로 증산원유 중 하루 30만배럴까지 한국이 최우선 구매할 권리를 준 것도 성과다. 정부 관계자는 “불안해지는 중동정세와 국제적인 고유가 상황을 감안해보면 중동 산유국 중에서 정치ㆍ경제적으로 가장 안정된 UAE 아부다비 원유를 최우선 구매할 수 있는 권리는 매력적”이라고 강조했다. 우리나라의 자원외교 정책은 2000년대 들어 본격적으로 가동됐다. 국제석유 가격 상승으로 에너지 안보의 위기감과 필요성이 높아지면서 2004년 ‘자원외교’라는 용어가 본격적으로 사용됐으며 이후 에너지기본법이 제정되고 대통령을 위원장으로 하는 국가에너지위원회가 설립됐다. 국내 자원 공기업들도 리스크가 크지만 비용이 적게 드는 탐사광구를 하나둘 확보해나갔다. ‘UAE 유전확보’의 쾌거는 과거부터 기울여온 이러한 노력이 초석이 됐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