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공모가 결정 수요예측방식 일원화 검토

◎증권사 매각차익실현 어려울듯/증감원,무리없는 소화 유도 겨냥오는 9월부터 기관투자가에 대한 공모주 배정비율이 20%에서 40%로 확대됨에 따라 공모주 배정방식이 수요예측방식으로 일원화될 전망이다. 이에따라 지금까지 공모예정가와 입찰 또는 수요예측방식으로 기관에 매각된 가격과의 차액을 챙겨왔던 증권사들은 앞으로 이같은 이익실현이 불가능하게 됐다. 15일 증권감독원에 따르면 오는 9월부터 공모주청약예금에 대한 일반인들의 공모주 배정비율은 60%에서 40%로 축소되고 기관투자가에 대한 배정비율은 20%에서 40%로 확대돼 증권사의 공모주 인수물량 소화여부가 현안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증감원은 증권사가 인수한 공개예정기업의 주식을 기관에 소화시킬때 현재 입찰이나 과도기적인 수요예측방식중 택일토록 한 것을 선진국과 같은 전면적인 수요예측방식으로 통일시키는 방안을 신중히 검토하고 있다. 전면적인 수요예측방식이 도입되면 증권사는 주간사계획서를 제출할때 공모예정가의 최소·최대범위만 제시하고 기관을 대상으로 한 수요예측방식으로 결정된 가격이 자동적으로 공모예정가격이 된다. 증권사들은 지금까지 입찰이나 과도기적인 수요예측방식으로 기관에 소화한 가격이 이미 정해진 공모예정가보다 높게 책정돼 그만큼의 차액을 챙겨왔기 때문에 인수수수료를 거의 받지 않았다. 그러나 전면적인 수요예측방식에 의해 인수물량을 소화시킬 경우 공모예정가격과의 차액 자체가 없어져 증권사들은 자동적으로 인수수수료에만 의존할 수밖에 없다. 증감원이 이처럼 전면적인 수요예측방식의 도입을 추진하는 이유는 20%에서 40%로 늘어난 기관배정물량을 무리없이 소화시키는 한편 기업공개로 인한 주식발행초과금 전액을 기업에 돌아가도록 유도하기 위한 것이다.<정완주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