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부시 재선> 초반 출구조사ㆍ블로거, 혼선 부채질

이번 미국 대선에서 많은 유권자들은 초반 출구조사의 오류와 오류 정보를 확대 재생산한 블로거들로 인해 대통령 당선자가 과연 케리인지, 부시인지 오락가락 해야 하는 심한 혼란을 겪었다. 지난 2000년 대선 당시 당선자 오보 소동으로 곤욕을 치른 주요 방송사와 신문사들은 섣부른 결론을 유보한 채 매우 신중한 보도 태도를 유지했지만, 블로거들이투표 직후 인터넷상에서 케리 후보의 선전을 마구 퍼뜨리면서 4년 전처럼 또다시 많은 사람들을 오도하는 결과를 빚었다. ABC, CBS, NBC, CNN, 폭스뉴스, AP 등 주요 언론사들이 신뢰성 있는 출구조사를위해 공동으로 세운 `전국선거합동보도단(NEP)'은 초반 출구조사 자료에서 케리 후보가 격전지인 플로리다주와 오하이오주에서 각각 3%포인트와 4%포인트 앞서는 것으로 전했다. 그러나 결과적으로 부시 대통령이 큰 차이로 승리를 거뒀으므로 잘못된자료였던 셈이다. 다른 여러 주들과 함께 플로리다와 오하이오주에서 케리 후보가 강세를 보인다는 이같은 출구조사 결과는 슬레이트, 드러지 리포트, 커맨드 포스트, 원켓닷컴 등주요 웹사이트를 통해 재빨리 유권자들 사이에 퍼졌다. 이 사이트들 중 일부는 출구조사 정보를 너무 과신하지 말라고 네티즌들에게 경고하기도 했다. 커맨드 포스트는 "액면 그대로 믿지 말라(Grain of Salt)"는 제목아래 출구조사 결과를 전했고, 드러지 리포트는 후보별 출구조사 포인트를 게시했다곧바로 지웠다. 슬레이트도 "초반 출구조사 결과가 승자의 이름을 결정짓는 것은 아니다"라고 경고했다. 커맨드 포스트의 공동 운영자인 앨런 넬슨은 "어차피 30초 내에 전세계의 뉴스가 될 게 뻔한 만큼 출구조사 결과를 공표하는데 한 치의 주저함도 없었다"면서 "우리의 전략은 인터넷에 올리면, 결정은 네티즌이 한다는 것"이라고 해명했다. 그러나 출구조사 결과를 본 수천명의 보통 미국인들, 특히 선거에 지대한 관심을 가진 사람들은 출구조사 수치를 아무 의심없이 믿고 "케리 후보가 당선됐구나"하는 결론에 이를 수도 있다고 CNN의 여론조사 전문가인 빌 슈나이더는 지적했다. NEP를 위해 출구조사를 실시한 조지프 렌스키는 투표가 끝날 쯤 후반 출구조사는 초반과 달리 팽팽한 접전으로 나타났다면서 블로거들이 출구조사 결과 중 자기의도에 맞는 여러 수치들을 마구 갖다 썼다고 말했다. 렌스키는 "초반 출구조사는 게임이 한참 진행되는 도중에 보도하는 것과 같다"면서 "이 상태에서는 정보의 단지 3분의 1만을 갖고 있는 것"이라고 문제점을 지적했다. 실제로 NEP는 뉴햄프셔, 펜실베이니아, 미네소타 주의 초반 출구조사에서 케리후보가 예상보다 훨씬 선전한 것으로 나타나자 언론사들을 곧바로 소집해 이 정보를신중히 사용할 필요가 있다는 경고를 전달했다. 미 언론들과 출구조사 기관은 많은 유권자들을 혼란시킨 이같은 출구조사의 오류가 왜 발생했는지 이유를 분석하고 있다. 이들은 민주당원들이 공화당원들에 비해 출구조사자들에게 의견을 밝히는데 더열성적이거나 혹은 케리 지지자들이 부시 지지자들보다 투표소에 먼저 도착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짐작하고 있을 뿐이다. 폭스뉴스의 정치 담당 프로듀서인 마티 라이언은 "예비선거 기간에는 출구조사에 아무 문제가 없었는데 어젯밤에는 출구조사가 통하지 않았다"면서 "어쨌든 출구조사에 문제가 있으며, 매우 실망스럽다"고 말했다. (뉴욕 AP=연합뉴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