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대구·경북 '경제통합' 본궤도

추진委 출범…'경제청 ' 통합기구 설치검토<br>대구EXCO등 공동투자 이어 창투사 설립도


“뭉쳐야 산다” 대구ㆍ경북이 민선 4기 출범이후 지역경제 회생을 위해 ‘경제통합’을 본격화하고 있는 가운데 서서히 성과물을 내놓기 시작했다. 반면 경제자유구역이나 자유무역지역 등 국가 주도의 대형 프로젝트에서는 대구ㆍ경북이 번번히 제외되면서 상대적 소외감이 커지고 있다. 대구시와 경북도는 지난 6일 오후 대구경북연구원 대회의실에서 ‘대구경북 경제통합추진위원회 사무국 현판식’을 가졌다. 사무국은 대구경북 경제통합의 공식 채널로, 사무국장 1명, 시ㆍ도 공무원 3~4명, 대경연 연구인력 1명 등 모두 7명이 파견 근무를 하게 된다. 사무국은 앞으로 경제통합과 관련된 과제ㆍ사업 발굴 및 추진, 경제통합 로드맵 수립 등을 담당하며 장기적으로 (가칭)’대구경북개발청’ 형태의 통합기구 설치도 검토하게 된다. 현재 양 시ㆍ도는 경제통합과 관련한 공동추진 과제로 외국인 투자유치, 환경기초시설 공동활용, 한방진흥사업, 관광프로그램 개발 등 17개 현안사업을 선정해 놓고 있다. 올 초부터 시작된 경제통합 논의의 성과도 조금씩 나타나고 있다. 경북도가 지난 8월 대구 전시컨벤션센터(EXCO) 확장에 공동 투자키로 하자, 대구시는 최근 경북도 출자회사인 경북통상㈜에 6억여원을 출자해 농산물 수출 등 공동 사업을 펼치겠다고 화답했다. 지방 전시장의 확장 경쟁이 치열한 가운데 양 시도가 공동 보조를 맞춤에 따라 산업자원부의 확장 계획에서도 우위를 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 경북통상도 대구시의 참여에 따라 명실상부한 지역 통상 진흥기구로 거듭날 전망이다. 양 시도는 또 오는 10일 우수 벤처기업 육성 등을 위해 지역에 기반을 둔 최초의 창업투자회사인 ‘대경창업투자회사’도 설립한다. 설립자본금은 70억원 규모로, 대구시와 경북도가 각각 14억원씩 출자하고 지역 주요기업에서 나머지를 출자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지난달에는 ‘대구ㆍ경산간 광역교통 협약’을 체결해 무료환승 등 교통편의를 제공하기도 했다. 이밖에 현안인 모바일특구 유치와 국립 대구과학관 유치에 대해서도 한목소리를 내면서 좋은 성과를 내고 있다. 권영세 대구경북 경제통합추진위 공동위원장(대구시 행정부시장)은 “수도권의 규제완화 움직임으로 경제통합이 더욱 절실해지고 있다”며 “상설 통합기구가 설립됨에 따라 앞으로 시도간 행정구역을 초월한 정책공조와 협력을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