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부터 3일간 일본 홋카이도에서 열리는 ‘도야코 G8 서밋’, 주요 8개국 정상회의는 온실가스 및 가격이 폭등하는 에너지 값과 식량 문제에 대한 해법을 모색한다는 점에서 관심을 모은다. 한국도 온실가스 주요 배출국으로서 중국ㆍ인도 등과 함께 처음으로 초청 받은 이번 회의는 오는 2012년에 기한이 끝나는 교토의정서를 대체할 새 틀을 짤 예정이지만 미국과 선진국 및 개발도상국 간 입장 차이로 어려움이 예상된다.
22개국이 참석하는 사상 최대 규모인 이번 회의는 에너지와 식량 문제가 의제로 추가됐으나 주의제는 어디까지나 온실가스 배출 감축이다. ‘제3차 석유 쇼크’가 현실화됨에 따라 화석연료 사용 감축을 통한 온실가스 배출 감축이 더 절실한 문제가 됐다. 식량 문제도 온실가스와 떼어서 생각할 수 없다. 지구온난화로 인한 이상기온으로 식량증산에 한계가 있다는 불안감이 크게 작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이 이런 문제를 논의하는 G8 무대에 서는 의미는 크다. 한국은 온실가스 주요 배출국으로 지목 받고 2013년 배출 감축 의무국에 포함될 것이 확실한데도 목소리를 내지 못했다. 주장은 못하고 부담만 떠안게 될 상황이다. 더구나 미국과 일본 및 유럽이 환경문제 주도권 쟁탈전을 벌이고 있어 적극적인 대처가 요구돼왔다. 일본과 유럽은 205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을 지금의 절반으로 줄일 계획이다.
온실가스 및 에너지ㆍ식량을 둘러싼 갈등과 불안은 앞으로도 계속될 것이 확실하다. 이명박 대통령은 G8 회의 참석을 이런 문제에 제 목소리를 내는 계기로 삼아야 한다. 특히 온실가스 감축 문제는 선진국의 뜻에 끌려 다닐 수만은 없다. 준비 없이 온실가스 감축 의무가 부과되면 경제와 산업에 주는 충격을 감당하기 어렵다.
인류의 미래와 관련된 온실가스 배출 감축에 동참하는 것은 당연하지만 최대 배출국인 미국과 중국이 소극적인 상황에서 목표를 숫자로 제시해서는 안 된다. 자승자박이 될 우려가 있다. 한국의 감축 노력을 설명하고 기후 및 에너지ㆍ식량 문제 해결을 위한 선진국의 노력부터 촉구해야 한다. 이와 함께 G8 무대 데뷔를 계기로 온실가스 배출 감축 문제에 대한 대책마련에 나서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