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대우조선, 外人 지분 참여 확대"

産銀 "컨소시엄 구성하면 10%이상도 가능"<br>정부 허용땐 경영권 마지노선 49%까지 양도<br>"구조조정 기업 매각통해 외환보유 확대 겨냥"


정부가 외환보유고 확대를 위해 대우조선해양 매각에 외국인 참여를 전향적으로 확대한다. 민유성 산업은행장은 최근 기자와 만나 “대우조선해양 매각에 개별 외국 자본의 지분참여 비중을 전체의 10% 이상으로 늘리지는 못하지만 여러 외국 자본이 컨소시엄으로 들어온다면 그 이상도 가능하다”고 밝혔다. 이는 컨소시엄에 참여하는 외국 자본이 개별적으로 대우조선해양 전체 지분의 10% 이하만 충족시킨다면 다수의 외국 자본들이 상당한 비중으로 참여할 수 있다는 뜻이다. 민 행장은 이어 “전체적으로 어느 정도까지 허용할지는 외국인투자촉진법에 따라 지식경제부 등 관계부처와 협의를 해야 한다”며 “국내 자본과 외국 자본이 균형을 맞추는 게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쉽게 말해서 정부가 허용한다면 경영권 마지노선인 49%까지도 외국 자본에 양도할 수 있음을 시사한 것이다. 현재 대우조선해양의 예상 매각가격이 5조~7조인 점을 감안하면 외국 투자가들로부터 최대 2조~3조원가량의 자금 유치가 가능해진다. 산업은행이 이처럼 대우조선해양 매각과 관련해 외자 참여폭을 늘린 것은 최근 정부가 소진된 외환보유고를 구조조정 기업 매각을 통해 확보하려는 방향으로 선회했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실제 전광우 금융위원장은 지난 8일 “국내 공적자금이 투입된 기업들을 매각할 때 외국 자본을 유치하도록 독려하겠다”며 외자 유치 확대 방침을 밝힌 바 있다. 외국 자본 참여 범위가 확대됨에 따라 그동안 정부 방침을 믿고 외국 자본 유치를 배제해왔던 인수 후보들은 외자 유치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할 상황에 놓였다. 또한 대우조선해양이 잠수함 관련 기술을 보유한 방위산업체인 만큼 외국으로의 기술 유출 논란도 제기될 것으로 전망된다. 대우조선해양 인수 후보기업 중 한 회사의 관계자는 “산업은행이 매각공고를 낼 때만 해도 방위산업체인 점을 고려해 외국 자본 유치에 부정적이었지만 최근 금융시장이 경색되면서 흐름이 바뀌고 있다”며 “기존에 외국계 기업과 제휴를 추진해왔던 기업들은 다소 유리해진 반면 토종 자본 중심으로 컨소시엄 구성을 추진해왔던 곳들은 난감해 하고 있다”고 전했다. 또 다른 회사의 한 관계자는 “연기금 등이 자금조달 조건으로 무리한 요구를 하고 있는 상황에서 오히려 선택의 폭이 넓어졌다”며 “해외에서의 회사채 발행, 재무적ㆍ전략적투자자 유치 등 다양한 방법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