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30대 그룹 환차손 10조 넘어

한진 1조7,151억으로 최다…GS·LG 뒤이어


환율 급등으로 30대 그룹의 올해 환차손이 10조원을 넘어섰다. 30일 재계 전문 사이트 재벌닷컴이 자산총액 기준 30대 그룹 계열 164개 상장사(금융회사 제외)의 재무제표를 분석한 결과 올 들어 지난 9월 말까지 이들 기업의 환차손은 총 10조706억원에 달했다. 그룹당 평균 3,300억원이 넘는 환율 손실을 입은 셈이다. 30대 그룹은 지난해 같은 기간 총 1,235억원의 환차익을 올린 바 있다. 올해 환차손 가운데 외화 자산과 부채를 처분한 데 따른 실현 환차손은 지난해 495억원에서 올해 1조5,098억원으로 손실액이 30배나 증가했다. 외화 자산 및 부채를 보유함에 따라 입는 미실현 환차손익도 지난해의 경우 1,730억원의 환차익을 거뒀으나 올해는 8조5,608억원의 환차손으로 역전됐다. 이는 원화 가치가 폭락하면서 달러ㆍ엔화 등으로 대출을 받거나 채권을 발행한 기업의 부채부담이 급증했음을 의미한다. 더구나 3ㆍ4분기 말 환율이 달러당 1,207원, 100엔당 1,137원이었던 것에 비해 최근 환율은 달러당 1,400~1,500원, 100엔당 1,500~1,600원을 오르내리고 있어 환율 피해는 갈수록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그룹별로는 지난해 931억원의 환차익을 냈던 한진그룹이 올해는 1조7,151억원의 환차손을 입어 30대 그룹 중 환율로 인한 손실액이 가장 컸다. 이는 주력 계열사인 대한항공과 한진해운이 항공기ㆍ선박을 구매하거나 빌릴 때 대규모 외화부채를 활용하기 때문이다. 두 계열사의 환차손이 각각 1조2,779억원과 4,365억원에 달했다. GS그룹은 상장사의 환차손은 크지 않았으나 비상장사인 GS칼텍스를 포함할 경우 환차손이 1조4,465억원에 달했다. GS칼텍스의 원유 구매에는 대규모 외화 차입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LG그룹은 LG전자가 15억달러에 달하는 순외화부채를 보유한 영향 등으로 한진ㆍGS에 이어 3번째로 많은 9,208억원의 환차손을 입었다. 정유업체인 SK에너지를 계열사로 거느리는 SK그룹은 환차손 규모가 9,082억원, 현대그룹은 해운업체인 현대상선으로 인해 6,289억원에 달하는 환차손을 입었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원유ㆍ철강ㆍ해운ㆍ항공 등 원자재 수입이 필요하거나 외화부채가 많은 대기업들이 환율 폭등의 직격탄을 맞았다”며 “환율이 고공행진을 지속할 경우 이들의 부담이 더욱 커질 수 있으므로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