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시장 어지럽힌다면 단호히 책임 묻겠다"

김석동 금융위원장 취임


김석동 신임 금융위원장은 "시장질서를 어지럽히고 왜곡하는 경우가 생기면 단호하면서도 엄정히 책임을 묻겠다"며 "금융위의 '존재감'만으로 시장의 질서와 기강이 설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이 같은 발언은 신한금융지주 사태와 현대건설 매각혼선 등과 같이 시장의 자율적 기능이 무너질 경우 관의 치(治)를 제대로 행사할 것임을 공식화한 것이다. 김 위원장은 3일 취임사와 기자간담회 등을 통해 "위기극복 과정에서 다소 해이해진 부분이 있을 수 있다"고 금융시장의 '이완'을 꼬집은 뒤 "존재감 있는 금융위를 만들자"면서 이같이 말했다. 그는 "금융산업의 자율은 금융시장을 움직이는 기본 근간인 '질서 및 규율'이 전제돼야 한다"며 "시장의 실패가 우려되는 상황에서는 시장안정을 위해 확고히 대처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 위원장은 실제로 "저축은행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 부실, 가계대출 증가, 글로벌 경쟁력 부재 등 많은 과제가 '압축파일'처럼 쌓여 있다"며 "시장의 취약 요인들은 선제적으로 대응하지 않을 경우 문제가 더욱 커지고 풀기도 어려워진다"고 밝혀 현안에 대한 정면돌파 의지를 드러냈다. 김 위원장은 취임식 직후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도 현대건설 매각을 둘러싼 분쟁에 대해 "채권단이 채권확보는 물론 기업이 제대로 성장할지에 대해 종합적으로 판단해 결정해야 한다"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채권단이 책임성 있게 행동하고 신뢰를 주는 것"이라고 말했다. 우리금융지주 매각재개 시점을 묻는 질문에 그는 "시기보다 더 중요한 것은 매각방법"이라며 "방법론이 정해지면 시기는 걱정할 문제가 아니다. 돈도 많이 받아야겠지만 회사가 잘돼야 한다"고 답해 공적자금 회수 극대화에 집착했던 종전 방식의 변화 가능성을 내비쳤다. 론스타의 외환은행 대주주 적격심사와 관련해서는 "납득할 수 있는 결론을 내겠다. 도망치듯 처리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 위원장은 지난 2003년 금감위 감독정책 1국장으로 재직하면서 론스타의 외환은행 인수를 승인하는 등 핵심 실무자로 관여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