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 MRO사업, 기업의 자율판단에 맡겨야

삼성이 소모성 자재 구매대행(MRO) 사업에서 손을 떼기로 한 것은 중소기업과의 동반성장이라는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는 통 큰 결정으로 평가된다. 그리고 이번 삼성의 결단을 계기로 MRO 사업을 영위하는 다른 대기업들에도 적지않은 파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삼성이 손을 떼기로 한 아이마켓코리아(IMK)는 지난해 매출 1조5,000억원과 순익 300억원에 이르는 알짜배기 기업이다. 이 같은 IMK의 지분 전량(58.7%)을 매각하고 아예 MRO 사업에서 철수하기로 한 것이다. IMK는 사업규모는 삼성의 전체 사업규모에 비춰보면 미미하지만 그룹 차원에서 소요되는 막대한 소모성 자재를 저렴하고 효율적으로 공급한다는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기업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삼성이 MRO 사업에서 철수하기로 한 것은 손해를 감수하더라도 동반성장에 적극 참여하기 위한 결단이라 할 수 있다. 대기업의 MRO 사업 자체가 문제될 것은 없다. 다만 당초 계열사 용품공급을 위해 설립한 대기업 계열 MRO 회사들이 사업영역을 계열사에서 다른 기업으로 확대하고 정부납품권까지 장악해 중소기업 관련 MRO들이 설 자리를 잃게 되면서 비난을 사게 된 것이다. 또 일감 몰아주기를 통한 부의 대물림과 편법상속 등으로 악용된 사례가 적지 않은 것도 부정적인 시각을 갖게 한 요인이다. 이에 따라 중소기업들은 문방구와 면장갑 납품까지 대기업들이 싹쓸이한다며 반발하고 나섰고 공정사회와 동반성장을 기치로 내건 정부와 정치권이 대기업의 MRO 사업을 강하게 압박하는 상황을 맞게 됐다. 그러나 대기업의 MRO 자회사는 중소기업이 물품을 납품할 수 있는 통로 역할을 하는 것은 물론 계열사 구매부서의 중복투자를 방지하는 긍정적인 측면도 많다. 덮어놓고 사업포기를 압박하는 것은 경제 전반의 효율성 측면에서 따른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 IMK의 경우 비록 삼성이 손을 떼더라도 다른 대기업 또는 자본이 운영할 것이다. 대기업 계열 MRO를 무조건 부정적으로 보고 압력을 가할 것이 아니라 대기업의 자율적인 판단에 맡기는 것이 바람직하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