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한나라 공천 물갈이론 처방만 봇물

현역 교체율 40%說부터 '경선 제외' 방안도… 일부 현역 벌써부터 반발

내년 4월 총선 공천 물갈이론이 한나라당 내에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현역 교체와 인재영입 방안을 놓고 백가쟁명식 처방이 쏟아져 나오고 있다. 이에 따라 18대 총선 공천에서 큰 홍역을 치른 한나라당이 내년 선거도 치르기 전에 내부 자리싸움에 빠져드는 것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가장 큰 논란거리는 공천에서 현역의원을 얼마나 교체하느냐다. 여러 당직자 입에서 역대 현역 교체율에 가까운 '40%' 가 오르내린다. 공천에 영향을 미치는 김정권 사무총장, 주호영 인재영입위원장 등이 주장하고 있어 힘이 실리는 모양새다. 나경원 최고위원이 위원장인 당 공천개혁특위에서는 20%의 전략공천 지역과 호남ㆍ충청ㆍ서울 일부 취약지역을 제외하고 국민참여 경선을 도입하는 방안을 마련했다. 한나라당은 지역주민의 의견을 담는 상향식 공천을 당론으로 정했지만 이 경우 지역 기반이 탄탄한 현역이 정치신인에 비해 유리하다. 이 때문에 '40% 교체'를 주장하는 초재선 의원 사이에서 경선 룰을 통해 현역과 신인 사이의 균형을 잡아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주 위원장은 이날 불교방송에 출연해 "현역 의원들의 경우 경쟁력, 인지도, 지역구 활동과 의정활동 평가 등에서 기준을 마련해 기준에 부합하지 못하는 분들은 경선 자체에 나갈 수 없도록 하는 틀을 만들어가고 있다"고 밝혔다. 당내에서는 선(先)경선에서 3명 정도 후보를 뽑고 이 후보끼리 본격적으로 경선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그는 공천개혁에 대해 "국민의 요구는 공천교체를 많이 해 새로운 인물을 선보이라는 것인데 당의 총선원칙이라는 상향식 공천이 현역의원들에게 유리한 제도"라며 "두 가지 상반될 수 있는 원칙과 흐름을 어떻게 조화시키느냐가 공천의 성패를 좌우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러나 현역의원들은 역차별 문제를 제기한다. 4선인 김무성 의원은 기자와 만나 "정치신인들이 지역에서 노력해 정당하게 현역과 붙어야 한다"면서 "지역주민이 공천을 주는 게 제일 민주적인 방식"이라고 지적했다. 현역을 교체한다고 해도 방법이 문제다. 정두언 여의도연구소장, 김용태 기획위원장은 대통령이나 당 지지율보다 개인 지지율이 낮을 경우 공천에서 탈락시키는 방안을 주장한다. 김 위원장은 "한나라당이 내년 공천에서 감동을 주려면 한나라당 `꽃밭'에서 대대적으로 혁신적인 물갈이를 하고 정말로 좋은 사람을 모셔 인물로 승부해야 한다"면서 "그러나 누구누구를 찍어 쫓아내는 그런 방식은 안 되고 가능하지도 않은 만큼 물갈이를 위한 객관적인 지표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김 위원장은 "지역구 내에서 대통령이나 당 지지율보다 낮은 지지율을 보일 경우 공천에서 탈락시켜야 한다"면서 "여의도연구소가 내년 1월 일제히 여론조사를 실시해 공천에 반영하면 된다"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김 사무총장도 "검토해볼 수 있는 사안"이라고 답했다. 통상 공천과정에서 중요한 기준으로 사용되던 '현역의원 교체지수' 역시 논란거리다. 일부에서는 지역주민의 교체욕구를 반영한 것일 뿐 상대당 후보와 비교, 검토할 수 없어 신뢰성이 떨어진다고 주장한다. 한나라당의 한 의원은 "18대 공천에서 쳐내고 싶은 경쟁자에게 교체지수를 들어 낙천시키고 자신의 교체지수는 공개하지 않았다"면서 "교체지수가 아니라 상대후보와의 경쟁력을 따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