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한국형 3D 아바타' 육성한다

재정 5,000억이상 투입 콘텐츠제작서 송출까지<br>3D산업 선순환구조 구축 발전 전략 내달8일 발표


3D장비 기술개발을 위해 2,000억원 규모의 글로벌 신성장펀드가 조성되고 3,000억원 규모의 3D펀드를 통해 3D 콘텐츠 제작을 지원하는 등 3D산업 발전을 위해 5,000억원 이상의 재정이 투입된다. 또 국민이 안심하고 3D방송을 시청할 수 있도록 3D방송 안전성 기준도 만들어진다. 정부는 이를 통해 '한국형 아바타'를 체계적으로 육성한다는 구상을 내놓았다. 21일 지식경제부ㆍ방송통신위원회ㆍ문화체육관광부 등에 따르면 정부는 이런 내용을 골자로 한 '3D산업 발전전략'을 오는 4월8일 비상경제대책회의에서 관계부처 합동으로 이명박 대통령에게 보고할 계획이다. 정부의 한 고위관계자는 "4월8일 대통령의 지방방문과 일정이 겹치지만 발표에는 큰 무리가 없을 것"이라며 "콘텐츠 생산부터 송출까지 '3D 생태계'의 선순환 구조를 만들기 위해 대책을 마련하게 됐다"고 밝혔다. 이번 대책이 나오게 된 것은 최근 3D영화 아바타가 전세계적으로 흥행하고 3D TV로 6월 남아공월드컵을 시청할 수 있게 되는 등 3D 붐이 빠르게 확산되고 있지만 국내 3D산업은 아직 밑그림조차 제대로 그리지 못하고 있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특히 3D 콘텐츠 제작에서부터 이를 송출하는 방송 서비스, 장비, 안경 등과 같은 기기까지, 유기적인 발전이 필요하다는 판단에 따라 3개 부처가 공동으로 추진하게 됐다. 실제 3D 기술은 어느 정도 진전됐음에도 쓸 만한 콘텐츠가 없어 시장에 나오지 못하는 실정이다. 지경부는 우선 3D 카메라 등 장비개발 및 장비 국산화 등을 추진하고 기존 글로벌 펀드 중 2,000억원가량을 3D 분야에 돌려 지원한다. 더불어 원천기술 개발 및 특허권 확보에도 나설 계획이다. 방통위는 10월 지상파ㆍ케이블ㆍ위성 3D방송 실험방송 계획을 비롯해 3D방송의 해결과제인 어지럼증ㆍ구토 등을 막기 위한 가이드라인도 준비한다. 문화부는 콘텐츠 제작비용 절감을 위한 공동제작시설을 마련하고 모태펀드 자금 중 3,000억원가량을 3D펀드로 조성해 자금지원 등을 책임진다. 정부는 이들 부처 외에도 각종 기금 등이 3D 전략에 참여하도록 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총 지원자금은 '5,000억+알파'가 될 것으로 보인다. 3D 발전을 위한 10개년 로드맵도 마련된다. 단기적으로 5개년 기술발전 플랜과 중장기적인 10개년 비전달성 방안이 각 분야별로 계획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