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마이너스 금리' 갈수록 심화

기준금리 인상에도 시중금리 내리고 물가는 뛰어 정부가 기준 금리를 올렸지만 은행 예금금리가 물가상승률에 못 미치는 ‘마이너스 금리’ 현상이 해소되기는커녕 오히려 심화되고 있다. 21일 한은과 금융업계에 따르면 국민, 신한, 우리, 하나 등 4대 시중은행의 정기예금 최고금리(1년 만기)는 지난달 말~이달 초 연 3%대 중반으로 집계됐다. 국민은행의 ‘슈퍼 정기예금’이 3.40%, 우리은행 ‘키위 정기예금’이 3.45%, 신한은행 ‘월 복리 정기예금’이 3.55%, 하나은행 ‘3.6.9 정기예금’이 3.60% 등이었다.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4.1%였던 점을 고려하면 실질금리는 마이너스 0.55~0.70%포인트가 된다. 이들 정기예금 상품은 기준금리가 오른 후에도 변동이 없거나 0.1~0.2%포인트 오르는 데 그쳤다. 이번 달 물가 상승률이 3% 중반만 기록해도 여전히 마이너스 금리인 셈이다. 저축은행도 상황은 비슷하다. 저축은행중앙회 집계에 따르면 전국 저축은행의 1년 만기 정기예금 금리는 지난달 말 4.21%로 물가 상승률에 가까웠다. 일부 저축은행은 물가 상승률을 밑도는 금리를 제시했다. 대출금리는 기준금리 인상으로 잠시 오르다가 다시 내리는 ‘되돌림 현상’마저 발생했다. 국민은행의 코픽스 연동 대출금리(신규취급액 기준)는 지난 7월 3.76~5.16%에서 지난 9월 3.91~5.31%로 올랐다가 3.76~5.16%로 재차 하락, 기준금리 인상 전 수준으로 복귀했다. 신한은행과 하나은행의 코픽스 연동 대출금리도 지난 7월 수준인 4.01~5.01%와 4.02~5.52%로 돌아갔다. 현대경제연구원 유병규 경제연구본부장은 “외화자금 유입이 늘고 저금리 상태가 오래 이어지면서 유동성이 넘친 결과”라며 “통화정책의 효과가 약해진 것도 한 원인”이라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