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아시아 각국도 금리인하 속속 동참

대만 0.25%P 이어 홍콩 0.5%P 추가 인하<br>日은 200억弗시장 투입·추가부양책 추진<br>"유동성위기 해소엔 큰 도움 안될것" 지적도

아시아 각국도 금리인하 속속 동참 대만 0.25%P 이어 홍콩 0.5%P 추가 인하日은 400억弗시장 투입·추가부양책 추진"유동성위기 해소엔 큰 도움 안될것" 지적도 김희원 기자 heewk@sed.co.kr 아시아 각국이 주요 거래 상대방인 미국과 유로존 등 10여 개국의 금리 인하 조치에 발맞춰 저금리 국제 공조에 한 목소리를 내고 있다. 9일 대만 중앙은행은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하한다고 밝혔고 홍콩은 전일에 이어 기준금리를 0.5%포인트 추가 인하했다. 일본ㆍ호주 등은 서구권의 금리인하 조치 이후 220억 달러의 유동성을 시장에 공급했다. 아시아 각국이 이처럼 경기 부양책에 나서는 것은 ‘D(Deflationㆍ물가하락 속 경기침체)의 공포’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자 선제적인 부양책을 채택, 자국 경제의 후퇴 가능성을 막아야 한다는 위기감이 작동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대만 중앙은행은 올 상반기까지만 해도 금리 인상세를 지속해 왔으나 지난 9월에 이어 약 3주만에 추가적인 금리 인하 조치를 단행, 기준 금리를 3.25%로 내렸다. 이틀 연속 금리를 내린 홍콩의 인하 폭은 무려 1.5%포인트에 달했다. 기준 금리가 0.5%에 불과, ‘인하 카드’ 사용 여력에 제한이 있는 일본은 이날 400억 달러(4조엔) 규모 자금을 시장에 투입, 9월19일 금융위기가 본격화 된 이후부터 17일 연속(거래일 기준) 금융 시장에 자금을 공급했다. 지난 7일 선제적인 금리인하 조치를 내놓은 호주 중앙은행 역시 이날 23억 달러(35억 호주달러)의 자금을 시장에 풀었다. 중국도 전일 기준 금리를 0.27%포인트 전격 인하하며 서방 주요국의 금리인하 공조에 동참한 바 있다. 이로써 이번 주 이후 금리 인하에 나서 아시아 국가는 중국ㆍ한국ㆍ호주ㆍ대만ㆍ홍콩ㆍ아랍에미리트연합ㆍ쿠웨이트 등 7개국에 달한다. 일본은 추가적인 경기부양책도 내놓는다. 아소 다로 일본 총리는 이날 참의원 심의를 남겨두고 있는 추경예산안에 이은 추가 경제대책의 수립을 지시했다. 인도도 최근 지급준비율을 인하하는 등 각종 유동성 강화 조치를 내놓았다. 아시아 각국이 기준 금리를 잇달아 인하하며 미국ㆍ유럽과 공조에 나서고 있는 것은 글로벌 경기 둔화에서 아시아 각국 역시 자유로울 수 없음을 반영하는 것이다. 아시아 자금은 유동성 위기로 동반 침체 가능성에 돌입한 서방 금융권을 구제할 수 있는 든든한 지원군으로 떠오르고 있어 아시아 마저 후퇴 위기에 돌입하는 것을 막아야 한다는 시각도 확산되고 있다. 특히 중국이 사상 최초로 서방 중앙은행과 동반 금리인하에 나선 것은 전 세계의 공조가 이제 필수적인 선택일 수 밖에 없음을 보여준다는 평가다. 중국은 5,190억 달러의 미국 국채를 보유하고 있는 미국의 주요 채권국으로, 보유 규모가 일본(5,930억 달러)과 비슷하다. 결국 미국 발 위기로 촉발된 상당 부분의 고통을 중국이 감내할 수 밖에 없다는 것이다. 중국, 한국, 대만 등 아시아 주요국은 또한 수출 위주 경제를 지향, 미국ㆍ유럽의 침체 기조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다. 지난 9월까지 대만의 무역흑자는 85억 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51%나 감소했다. 이번 동반금리인하는 시장 심리에 긍정적인 효과를 줄 것이라는 분석이다. 그러나 이것만으로 충분할 것이라는 시각은 그리 많지 않다. 카츠수 토모히코 일본 신세이 은행 자본시장 담당 이사는 “각국 중앙은행의 메시지는 분명하다. 그들은 시장 심리를 회복시키기 위해 무엇이든 할 것”이라면서도 “동반 금리인하는 시장 심리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겠지만 유동성 위기 자체에는 어떤 영향을 주지 못할 것”이라고 말했다. 시라카와 히로미시 일본 소재 크레디트스위스 은행의 수석 이코노미스트도 “아시아 중앙은행의 금리인하는 어떤 효과도 주지 못할 것”이라며 “미국과 유럽은 제로 금리 정책에 관해 생각하기 시작해야만 할 시점”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제로 금리 정책을 펼 경우 낮은 금리로 고소득층의 수입이 줄어들 수 있어 각국이 꺼리고 있다고 이날 블룸버그통신은 분석했다. 혼자 웃는 김대리~알고보니[2585+무선인터넷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