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부동산일반

市 "용산, 공공개발 방식 검토"

민간 사업자간 조율 안되면

용산국제업무지구 조감도

서울시가 좌초 위기에 몰린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사업을 공공사업으로 추진하는 방안을 검토하기로 했다. 이번 서울시의 입장은 정종환 국토해양부 장관이 최근 무산 위기에 처한 용산 개발사업에 정부가 어떤 역할을 할 수 있을지 고민 중이라고 말한 후 나와 더욱 주목된다.

송득범 서울시 도시계획국장은 10일 서울시의회 업무보고에 참석해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에 대해 공공사업으로 추진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송 국장은 이어 "투자자들 간의 의견조율이 잘 안 될 경우 사업을 공공에서 수행하는 방안을 염두에 두고 있다"면서 "민간사업자들끼리 끝내 조율이 안 된다면 시행자를 다시 뽑을 수도 있지만 여건상 공공개발의 가능성이 크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공공개발의 구체적인 방식은 아직 드러나지 않았지만 업계에서는 SH공사ㆍLHㆍ코레일 등 공공기관이 새로 컨소시엄을 구성해 개발사업을 주도해가는 형태가 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현행 도시개발법상 용산국제업무지구의 경우 민간업체들이 배제되더라도 지자체와 정부, SH공사와 LH 등이 사업시행자로 나설 수 있기 때문이다. SH공사는 현재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 시행사인 드림허브주식회사의 지분 4.9%를 확보하고 있으며 코레일은 25%의 지분을 가진 상태다.

그러나 SH공사 등이 사업주체로 전면에 나서려면 토지대금 마련 대책 등이 선행돼야 할 것으로 보인다. SH공사의 부채가 16조원 규모인 만큼 용산역세권 개발사업을 인수하기 위한 8조원의 토지대금을 마련하기는 쉽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서울시의 한 관계자는 "오늘 의회에 보고한 사항은 원론적인 입장이지 서울시가 전면에 나설 경우 떠안아야 할 자금마련 방안 등 구체적인 검토가 이뤄진 것은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