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알짜기업 실적행진은 계속된다] 에쓰-오일

고도화 시설규모 세계최고 수준



‘석유를 고부가가치 수출제품으로’ S-Oil은 세계적 수준의 석유정제 고도화시설을 바탕으로 아시아ㆍ태평양지역에서 가장 경쟁력 있는 정유회사의 하나로 성장하고 있다. 하루 58만배럴의 원유처리능력을 가지고 있는 S-Oil은 원유정제시설 규모에서는 국내 정유사 중 3위에 해당하지만 최근 정유사의 수익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 고도화시설 규모에서는 세계 최고 수준으로 평가 받고 있다. 고도화시설이란 값비싼 원유 대신 저가의 고유황B-C유를 원료로 부가가치가 높은 휘발유, 경유 등 경질석유제품과 초저유황 B-C유를 생산하는 석유정제시설로 최근 국제시장에서 원유정제시설의 생산마진은 축소되고 있는 반면, 고도화시설의 생산마진(Crack margin)은 큰 폭으로 개선되고 있다. S-Oil의 고도화시설 투자는 지난 91년 사우디 아람코와의 합작투자 이후부터. 아람코와의 합작투자를 통해 원유정제시설 투자비의 10배에 해당하는 투자비를 충당하고 안정적인 원료공급선을 확보, 효율성을 극대화했다. 고도화시설 건설은 7년에 걸쳐 진행되었으며 외환위기가 본격화되기 직전인 97년 4월 1조원의 투자비가 투입된 1차 고도화시설 투자를 마무리했다. S-Oil의 고도화시설인 ‘B-C크랙킹센터’는 등ㆍ경유를 주로 생산하는 수첨분해시설(Hydrocracker)과 휘발유를 주로 생산하는 접촉분해시설(RFCC) 및 고유황B-C를 처리하여 저유황 B-C를 생산하는 B-C탈황시설 (Hyvhal)등으로 이뤄졌다. 뒤이어 자일렌 센터, 제2 B-C 탈황시설(New Hyvhal) 완공 등으로 S-Oil은 고부가가치제품의 본격적 대량생산체제에 돌입했다. S-Oil은 최첨단 고부가가치 정제시설을 성공적으로 가동함으로써 수익성을 획기적으로 높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지난해에는 국내 석유소비 감소추세에도 불구하고 지난해 9,411억원의 순이익을 올려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S-Oil의 ‘B-C 크래킹센터’는 단순제조업으로만 인식되고 있던 국내 정유산업을 고부가가치 수출산업으로 탈바꿈시켰다. S-Oil은 해외시장 개척에 주력한 결과, 수출과 내수의 조화를 통해 국내외 영업환경 변화에 탄력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게 됐다. 매년 생산물량의 50% 이상을 수출함으로써 국내 석유산업을 고부가가치 수출산업으로 격상시켰으며, 2004년에도 총 매출액의 57%가 넘는 약54억달러의 수출실적을 기록했다. S-Oil은 고부가가치 제품이 부족한 시장환경을 이용해 현재의 고수익 구조를 정착시킬 계획이다. 현재 세계석유시장은 중국, 인도 등 아시아 지역을 중심으로 석유수요가 급증하고 있으나 석유제품을 생산하는 정제시설이 부족해 원유가격대비 석유제품가격 차이인 정제마진이 당분간 높게 형성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특히 정제시설 중에서도 부가가치가 높은 고도화시설 부족이 계속될 것으로 보여 고도화시설 비중이 높은 S-Oil에 유리한 시장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