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北, 주민들의 中 친지 방문 불허 왜?

김정은, 작년말 "많은 도움 받아오라"더니<br>북아프리카ㆍ중동 민주화 바람에 급선회

북한 당국이 '재스민 혁명'으로 불리는 튀니지ㆍ이집트ㆍ리비아 등지의 민주화 시위ㆍ내전 소식이 북한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기 위해 주민들의 중국 친지 방문 등 개인적인 여행을 완전히 통제하고 있다고 대북 매체들이 전했다. 또 중국 정부도 탈북자와 탈북 지원단체에 대한 검문ㆍ단속활동을 강화한 것으로 확인됐다. 미국의소리(VOA) 방송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따르면, 중국과 북한을 오가며 보따리 무역을 하는 화교 류모씨는 "(북한 당국이) 금년 들어 북한 공민(주민)들에게 공무(公務)여행 이외의 사사(私事ㆍ개인적인)여행을 일체 내주지 않고 있다"며 "(북한에 사는) 화교들의 중국 여행절차도 까다로워졌다"고 말했다. ◇中 정부도 탈북자ㆍ지원단체 단속 강화= 중국 정부의 탈북자 단속도 최근 대폭 강화됐다. 조선족 김모씨도 "평양에 사는 동생을 중국으로 초청하려고 했지만 북한 당국이 사사여행을 허가하지 않아 불가능한 상태"라며 "주변에 비슷한 처지에 놓인 사람이 꽤 많은 것으로 알고 있다"고 전했다. 중국 조선족 중에는 과거 북한에서 중국으로 넘어간 이들이 적잖아 북한 당국이 여행을 규제하면 가족ㆍ친지 상봉 등이 어려워진다. 사업차 평양을 자주 찾는다는 조선족 김씨는 “중국에 드나드는 사람들이 자본주의 때를 묻혀 들여온다며 경계대상이 되고 있는데 중동ㆍ북아프리카에서 발생한 민주화 혁명 소식이 북한으로 스며들 것을 우려하는 것은 당연한 일” 이라고 말했다. 북한은 지난해 9ㆍ28 당대표자회를 한달여 앞둔 8월부터 주민들의 중국 친지 방문을 금지했다가 11월 들어 중국에 친지를 둔 50세 이상 주민들에게 “되도록 많은 경제적 도움을 받아오라”며 통상 3개월간의 중국 여행을 허용했다. 당시 북한 당국은 이를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후계자인 '청년대장(김정은)의 배려'라고 선전했다. 한편 방송에 따르면 북한은 수입 제품을 포장한 중국 잡지ㆍ신문에도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다. 중국 단둥에서 북한을 상대로 장사하는 화교 진모씨는 “북한으로 들어가는 물건에 무심코 다 보고난 중국 잡지ㆍ신문을 포장지로 사용하는 것도 큰 문제가 될 수 있다”면서 “이는 북한 당국이 외부 소식 유입에 얼마나 민감한지 보여주는 단적인 사례”라고 지적했다. ◇中 동북3성 빠져나오는 비용 3~4배 ↑= 중국 정부의 탈북자 단속도 최근 대폭 강화됐다. 탈북자들이 많이 이용하는 이동경로마다 중국 공안ㆍ특수경찰이 검문을 벌이고, 탈북자들이 많이 모이는 지역에서는 고속도로를 막은 채 일일이 차량 탑승자들의 신분을 확인하는 장면이 목격됐다. 3월 초 중국을 다녀온 미래희망연대 김을동 의원실 관계자도 “기차 단속에 국한되던 탈북자 단속이 지난해 말부터 지방도로까지 확대됐다고 들었다. 총기를 소지한 특수경찰이 컴퓨터 시스템을 이용해 차량 탑승자 등의 신분을 조회하고 있었다”고 말했다. 북ㆍ중 국경, 중국 동북3성 지역에 대해 검문과 탈북자 지원 종교단체 등에 대한 단속도 강화됐다. 지난달에는 옌지(延吉)에 있는 종교단체 관계자 수십여명이 붙잡힌 것으로 알려졌다. 이 같은 움직임은 김정은이 공식 등장한 이후 사회기강 확립을 위해 탈북자 단속을 대폭 강화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일각에선 지난 2월 멍젠주 중국 공안부장의 방북 이후 탈북자 단속이 강화됐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탈북을 돕는 한 단체 관계자는 "국경 단속이 대폭 강화되면서 도강이 어려워진데다 국경을 넘었어도 중국 공안에 체포돼 강제북송 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다. 이에 따라 도강 후 동북3성 지역을 빠져나오는 비용이 이전보다 3~4배 이상 올랐다"고 설명했다. 최근 중국내 가족들을 제3국으로 보내는데 성공한 한 탈북자는 "중국 공안에 뒷돈을 주거나 힘있는 브로커를 만나지 않으면 제3국행이 쉽지 않다. 요즘엔 이 일에 나서려는 브로커를 찾기도 쉽지 않다"고 말했다. /속보팀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