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내수 '날개없는 추락' 경제복원력 상실 우려

전업종 최저점 갈아치워 L자형 장기불황진입 해석도<br>소비회복 일려야 내년 하반기 경기부양 공식화등 대책 필요

내수가 끝없이 추락하고 있다. ‘시계(視界) 제로’, ‘출구 없는 터널’ 등 어두운 용어들이 난무하고 심지어 실물경기가 붕괴 직전이라는 말까지 나왔다. 지난달 서비스업활동지수가 나올 당시까지도 일부에서는 언론이 통계청의 발표내용을 지나치게 비관적으로 해석한다는 비판이 나왔다. 연말이나 늦어도 내년 초 내수경기가 살아날 것이라는 정부의 전망에 기대를 걸기도 했다. 하지만 6일 발표된 8월 서비스업활동지수는 그나마 남아 있던 낙관적 기대를 무색하게 만들었다. 지표 자체가 사상 최악이었고 무엇보다 업종을 가리지 않고 최저점을 갈아치웠다. 도매업은 물론 소매업조차 음식료품 및 담배(-10.25%), 건축자재 및 철물(-5.5%), 무점포소매(-7.5%), 종합소매(-6.1%) 등 전업종이 끝을 알 수 없는 바닥으로 빠져드는 분위기다. 교육서비스업과 오락ㆍ문화, 운동 관련 서비스업이 6개월째 감소세를 이어간 점은 경기악화로 국민이 불요불급한 것을 제외하고는 지갑에 자물쇠를 채웠음을 보여준다. 내수 부문은 이미 ‘L자형 장기불황’으로 진입했다는 해석마저 나오고 있다. 문제는 산업활동 동향에 이어 서비스업활동 동향마저 이처럼 최악으로 치달으면서 자생적 경제회복 능력을 잃어가는 조짐을 보이고 있다는 점이다. 정부는 일단 내년 경제성장의 관건을 내수회복에서 찾으며 ‘5% 성장률’ 달성을 고집하고 있다. 이헌재 부총리 겸 재정경제부 장관은 “내년 수출의 기여도가 마이너스가 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면서도 민간소비가 4% 정도 살아날 것이라는 점을 들어 5% 성장 가능성을 버리지 않겠다고 밝혔다. 50만개의 일자리 창출을 위해서도 성장률 달성이 필수적이라는 것이다. ‘내수회복’에 내년 경기의 명운을 걸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하지만 민간 연구소들이 바라보는 시각은 딴 판이다. 삼성경제연구소는 지난 5일 보고서에서 “민간소비의 본격회복은 오는 2006년 하반기에나 가능하며 가계부채가 가계가 감내할 수 있는 적정한 수준으로 조정되는 데도 앞으로 2∼4년이 걸릴 것”이라고 분석했다. 양 날개(수출ㆍ내수)가 꺾이는 상황이 내년 초 현실화할 수 있다는 얘기다. 배상근 한국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연말부터 지표상으로는 민간소비가 개선되지만 이는 비교시점이 워낙 나빴던 데 따른 수치상의 효과(기술적 반등)에 불과할 것”이라며 “구조적으로 내수가 회복되는 것은 일러야 내년 하반기나 가능하다”고 말했다. 소비회복의 관건으로 꼽히는 가계 부문의 부채 구조조정과 관련해서도 “내년 상반기 이후에도 신용불량자 문제 등의 영향력이 있을 것”이라며 “정부가 전면적인 경기부양에 나서고 있다는 점을 공식화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이해찬 국무총리도 6일 “경제가 내년 하반기부터나 풀릴 것”이라고 내다봤다. 삼성경제연구소는 “버블경기에 대한 적절한 대응이 늦어 경기침체가 장기화됐던 일본의 전철을 밟지 않기 위해서는 불황이 장기화되기 전에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young@sed.co.kr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