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창극 총리 후보자가 24일 인사청문회에 서보지도 못하고 지명 14일 만에 사퇴하면서 '좁은 인재풀'을 넓히고 인사 추천·검증 과정에서 소통을 확대해야 한다는 여론이 높아지고 있다.
안대희 전 후보자에 이어 문 후보자마저 연쇄적으로 '여론검증'의 벽을 넘지 못하면서 이제는 청와대가 '수첩인사'에서 벗어나 여야 모두로부터 공감을 얻을 수 있는 인사를 폭넓게 발탁해야 한다는 것이다. 지난해 1월 말 김용준 전 후보자의 낙마까지 합하면 불과 1년반도 안 돼 지명자 4명 중 정홍원 총리만 직을 수행하고 있을 뿐 3명이 청문회에 서지도 못하고 탈락했기 때문이다.
문 후보자의 인사에는 청와대 인사위원회 외에 박근혜 대통령의 비선라인이 개입하며 추천과 검증 모두 부실하게 이뤄졌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그만큼 국민이나 야당과 소통이 되지 않은 것은 물론 청와대와 정부·새누리당에서조차 인물이 제대로 걸러지지 않았다. 지난 10일 문 후보자가 지명됐을 때 새누리당에서는 "의외의 인물이 됐다"며 인사배경과 추천주체를 몰라 허둥지둥했다. 미국의 경우 백악관과 각 정당에서 인재풀을 폭넓게 관리하며 경찰·국세청 등을 통한 검증뿐만 아니라 교회·학교·직장의 평판조사까지 진행하는 것과는 대조적이다. 만약 미국처럼 문 후보자가 다니는 교회에서 평판조사가 이뤄졌다면 문 후보자의 '친일민족사관' 논란으로 초래된 이번 인사참사는 방지할 수 있었다는 얘기다.
전문가들은 여권에서 소통과정 없이 밀실에서 인재가 추천되고 허술하게 검증이 이뤄진다면 '국가대개조' 추진에 힘이 빠지는 것은 물론 자칫 박 대통령의 레임덕이 가시화될 수도 있다고 우려한다. 박 대통령이 그동안 청와대와 정부에서 인재를 등용할 때 관료와 법조인·교수 등으로 한정하고 그나마 자신이나 정권과 친한 사람들만 골라 쓴 것이 화를 키웠다는 분석도 나온다. 화합하고 포용력 있고 국민과 소통하며 리더십을 발휘할 수 있는 인사를 발탁해야 박근혜 정부 중·후반부를 도모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조창현 전 중앙인사위원장은 "박 대통령이 법조인이나 총장 등 총리격이라고 미리 단정하고 거기서 그나마 친한 사람만 쓰면 실패할 확률이 높다"며 "이런 위기상황에서는 야당 대표에게 인재를 추천해달라고 하는 것도 한 방법"이라고 조언했다. 황인상 P&C 대표는 "지금 청와대는 국가 시스템을 개조한다고 외치면서 정작 청와대 내부 인사 시스템도 바꾸지 못해 이 같은 국정공백을 초래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