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이젠 Smarter 시대다] <상> 스마트폰 2,000만대, 우리가 승자

5배이상 똑똑해진 토종'스마터폰' 글로벌 무대 선점 '터치'<br> 1.2GHz 듀얼 프로세서 탑재 삼성‘갤럭시S2’로 톱3 목표<br> 3차원 기능‘옵티머스3D’ 등 LG전자, 다양한 라인업 구성<br> 팬택, 최고 속도 3세대‘베가’내달 출시‘메이저’ 진입 야심



올해 말에는 스마트폰 가입자가 2,000만명을 넘어서고 태블릿PC 시장이 급성장하는 ‘스마트 모바일 기기의 대중화 원년’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지난 2009년 애플의 아이폰 상륙 이후 고심했던 삼성전자ㆍLG전자ㆍ팬택 등 국내 스마트폰 제조업체들은 올해 아이폰을 훨씬 능가하는 ‘스마터(smarter)폰’ 제품으로 설욕을 다짐하고 있다. 스마터폰은 기존 스마트폰에 비해 처리속도ㆍ화질ㆍ연계성에서 한층 강화된 프리미엄 고성능 제품이다. 스마터폰에서 주목할 부분은 ‘두뇌’라고 볼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가 지난해 800㎒ 수준에서 올해는 1.2㎓로 늘어난데다 ‘듀얼’이라는 특성까지 갖추기 시작했다는 점이다. 듀얼코어는 ‘머리가 두 개’라는 의미로 2.4㎓의 능력을 발휘하는 셈이다. 산술적만으로도 지난해보다 데이터 처리능력이 3배 이상 급상승해 ‘스마트폰’을 넘어 더 똑똑해진 ‘스마터폰’시대가 열리고 있는 것이다. 특히 하반기에는 1.5㎓, 나아가 2㎓ 듀얼코어 프로세서까지 등장할 경우 능력면에서 무려 5배 이상의 상승이 기대된다. 단순히 ‘손 안의 컴퓨터’라는 수식을 넘어 일반 PC 수준을 넘어서는 새로운 능력을 갖춘 슈퍼 모바일 기기로 자리잡아가고 있는 것이다. 정보기술(IT)업계의 한 관계자는 “애플의 신제품 아이폰5가 가을이 지나서나 출시될 것으로 보여 한국 스마트폰 3인방의 활약이 기대된다”면서 “스마터폰을 내세운 국내 업체들의 활약으로 한국산 글로벌 스마트폰 판매가 1억대를 넘어 지난해보다 3배 이상 늘어 날 것”이라고 예상했다. ◇삼성 갤럭시S2, 시장을 선도한다=삼성전자는 자체 제작한 1.2㎓ 듀얼코어 프로세서, 4.3인치 슈퍼아몰레드 플러스, HSPA+ 21Mbps의 전송 속도 기능을를 탑재한 ‘갤럭시S2’를 28일 공식 출시한다. 구글의 최신 스마트폰 운영체제(OS) 진저브레드(2.3버전)와 800만화소 카메라, 8㎜대 두께와 116g 무게로 가볍고 휴대하기 편하면서도 기능이 한층 강화됐다. 특히 갤럭시S2는 갤럭시S때와 달리 ‘본토’인 한국시장에서 첫 출발을 알린다. 한국 시장 출시를 계기로 유럽ㆍ미국ㆍ일본 등 글로벌 시장에 전격적으로 풀려 지난해 6개월 만에 갤럭시S가 세웠던 ‘1,000만대’ 단기간 판매 기록을 갈아치우면서 애플 아이폰과 자웅을 겨룰 것으로 전망된다. 갤럭시S2 글로벌 사업자는 120여개국 140여개로 출시 초기 100여개국 110여개 공급망을 확보했던 갤럭시S보다 국가 수와 사업자 수는 각각 20%, 27% 늘어났다. 지난해 글로벌 업체 가운데 유일하게 ‘이이폰4’의 공세를 정면으로 맞서냈던 삼성전자가 올해 갤럭시S2를 선봉장으로 내세워 6,000만대의 스마트폰 판매를 이뤄내 애플에 맞먹는 톱3 스마트폰 업체로 부상할 계획이다. 삼성전자의 한 관계자는 “지난해 6월 출시된 갤럭시S가 출시 70일 만에 100만대가 넘는 판매량을 기록했다”며 “갤럭시S2는 사양과 가격 면에서 경쟁력을 갖춘 만큼 더 높은 실적을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애플이 맞소송, 위치정보 저장 등의 악재를 거듭하면서 삼성전자가 차세대 스마트폰 시장을 선점할 수 있는 좋은 기회를 맞게 됐다”며 “1,400만대 이상 판매된 ‘갤럭시S’의 기록을 충분히 깰 것”이라고 예상했다. ◇LG, 다양한 라인업 완료=올해 초 세계 최초 1㎓ 듀얼코어 프로세서를 탑재한 ‘옵티머스2X’를 선보였던 LG전자는 퀄컴ㆍ엔비디아ㆍ텍사스인스트루먼트(TI) 등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 구입처를 다변화하면서 시장 상황에 따라 투입 여부를 저울질하고 있다. LG전자의 스마터폰 전략은 다양한 라인업 구성에 있다. 이달 내 출시할 예정인 ‘옵티머스 블랙’은 혁신적인 모바일 및 디스플레이 기술과 디자인 경쟁력을 집약한 LG스마트폰의 야심작으로 현존 스마트폰 중 가장 밝은 화면과 가벼운 무게를 자랑한다. 밝기와 절전 성능을 대폭 개선한 ‘노바(NOVA)’ LCD 디스플레이를 탑재해 업계 최초로 700니트(nit)의 밝은 화질을 제해 빛이 강한 야외에서도 쉽게 알아볼 수 있다. 옵티머스 블랙은 측면 두께가 6㎜, 가장 두꺼운 부분도 9.2㎜에 불과하다. LG유플러스를 통해 출시하는 ‘옵티머스 빅’은 4.3인치 대화면의 노바 디스플레이를 장착했다. 16GB 대용량 메모리 탑재하고 HDMI를 지원해 TV 등과 손쉽게 연결을 지원해주는 것은 물론 차세대 와이파이 기술로 불리는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ㆍ블루투스 대비 22배 빠른 무선 데이터 전송 가능)도 탑재해 멀티미디어 성능을 강화했다. TI의 1㎓ 프로세서와 안드로이드 2.2버전, 지상파DMB, 발광다이오드(LED) 플래시 지원 500만 화소 카메라, 1,500㎃h 대용량 배터리 등을 갖췄다. 3차원 기능을 갖춘 옵티머스 3D도 출시를 준비하고 있다. 이 제품은 듀얼코어 프로세서 등을 탑재해 강력한 성능을 구현한다. TI의 1㎓ 듀얼코어 프로세서를 탑재해 PC와 맞먹는다. 옵티머스 3D는 듀얼코어 프로세서는 물론 듀얼 메모리 및 듀얼 채널까지 적용해 세계 최초로 ‘트라이 듀얼모드’를 구현했다. 스마트폰 성능의 핵심요소인 연산장치(듀얼코어)에 최적화된 기억장치(메모리)와 프로그램 수행장치(채널)를 적용한 것이다. 이를 통해 ▦인터넷 속도 ▦멀티 태스킹 ▦3D 콘텐츠 구현 ▦전력소모 효율성 등에서 최고성능을 자랑한다. 특히 3D로 촬영ㆍ재생ㆍ공유 등이 모두 가능한 세계 최초 3D 스마트폰으로 콘텐츠가 부족했던 3D 대중화에도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팬택, ‘3세대 베가’로 승부=팬택은 올해 전략 제품으로 4.3인치 디스플레이에 1.2㎓ 이상의 듀얼코어 프로세서를 탑재한 신제품 3세대 베가를 5월 중에 선보일 방침이다. 팬택은 항상 신제품에서 메모리, 데이터 처리능력을 한층 강화하는 데 주력하고 있어 속도 면에서는 세계 최고의 제품이 나올 것으로 보인다. 박병엽 팬택 부회장은 “이제 스마트폰이 PC를 넘어서면서 사실상 PC가 무용지물이 되는 시기가 올 것”이라면서 “팬택이 세계 최고수준의 기술력을 탑재한 제품으로 글로벌 스마트폰 메이커로 부상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