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경북도 미래 먹을거리 '원자력'서 찾는다

동남권신공항과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유치에 실패한 경북도가 미래 ‘먹을거리’를 원자력에서 찾고 있다. 국내 전체 원전 21기중 10기가 가동되고 있고, 방사성폐기물처리장이 건설 중인 동해안권에 원자력 관련 연구ㆍ개발(R&D) 및 인력양성 기관, 산업단지 등을 집적화 한 ‘원자력 클러스터’를 조성하겠다는 것이다. 현재 동해안에는 원전만 밀집돼 있고, R&D 시설 등은 서울과 대전에 몰려있다. 일본 원전 사고 이후 원전 안전성 문제가 전 세계적으로 부각되고는 있으나 미래 에너지 안보 및 원자력산업 수출경쟁력 확보를 위해서는 동해안 원자력 클러스터 조성이 반드시 필요한 사업이라는 것이 경북도의 입장이다. 경북도는 지난 21일 서울 삼정호텔에서 ‘경북도 원자력 클러스터 포럼’을 갖고 성공적인 클러스터 조성방안을 모색했다. 경북도 구상중인 동해안 원자력 클러스터는 오는 2028년까지 포항ㆍ경주ㆍ영덕ㆍ울진 등 경북 동해안에 12조7,000억원을 투입, 원자력 관련 기관을 집적화해 국내 원자력 수출 전진기지로 육성한다는 것이다. 이날 포럼에서 김관용 경북도지사는 “국내 가동중인 원전의 절반이 위치한 동해안은 ‘원자력 클러스터의 최적지’”라고 거듭 강조했다. 그는 이어 “원전이 동해안에 밀집해 있음에도 원자력연구소ㆍ원자력안전기술원은 대전에, 원자력병원은 서울에 위치하고 있어 경북은 국가를 위해 부담만 떠안고 있는 셈”이라며 “지역발전의 확고한 가치를 따지더라도 경북 동해안만이 해답”이라고 밝혔다. 포럼에서는 세계 원자력산업 동향 및 전망, 원자력산업 정책 방향, 경북 원자력산업 클러스터 조성 계획 등과 관련한 전문가들의 주제발표 및 토론이 진행됐다. 경북도 원자력 클러스터 포럼은 성공적인 클러스터 조성을 위한 정책 자문, 과제 발굴, 사회적 공감대 형성을 위해 대학·연구소·기업·언론사 등의 원자력 전문가 50명으로 구성돼 있다. 한편 경북도는 동해안 원자력산업 클러스터 조성과 관련, 지난해부터 산업연구원에 의뢰,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용역에 따라 현재 ▦포항에 원자력 전문대학원, 에너지부품 산업단지 ▦경주에 원자력산업진흥원, 원자력병원 ▦영덕에 원자력 테마파크, 원자력 안전문화센터 ▦울진에 제2원자력연구원, 스마트 원자로 실증플랜트 등을 유치 또는 조성한다는 밑그림이 나와 있는 상태다. 동해안 원자력 클러스터 조성사업이 차질 없이 추진될 경우 생산유발 23조7,936억원, 부가가치유발 9조5,316억원, 고용창출 20만 명 등의 경제적 파급효과가 예상되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