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한국인 피랍] 정부, 석방노력 전력투구

각종 채널로 무장단체에 입장 전달

가나무역 직원 김선일(33)씨를 납치한 이라크 무장단체가 통보한 24시간 시점이 사실상 지난 가운데 정부는 22일 김씨의 석방을 위한 전방위 외교적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외교통상부는 인질교섭 지원을 위해 급파한 현지대책반과 이라크 및 중동지역공관을 통해 이슬람 성직자협회와 CPA(미군 임시행정처), MFNC(다국적군사령부), 이라크 외교부 등의 협조하에 석방교섭을 전개하고 있다. 이날 외교부 관계자는 "김씨를 억류하고 있는 무장단체에 조기석방이라는 우리정부의 입장을 다양한 채널을 통해 전달했다"고 말해 정부의 협상 노력이 본격화되고 있음을 시사했다. 그러나 이 관계자는 정부가 다양한 채널을 통한 무장단체와 간접 접촉에 대해서는 확인하면서도 이들과 직접 협상을 벌이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았다. 김씨의 생사 여부에 대해 신봉길 대변인은 22일 오전 브리핑에서 "상황이 유동적이어서 이 문제에 대해 단정적으로 말할 수 없다"며 "여러 갈래로 보고를 받지만정확도를 판단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그는 가나무역 김천호 사장의 언론 인터뷰 내용과 관련, "김 사장의 설명 중에는 다소 엇갈리는 부분이 있는 만큼 좀 더 확인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정부는 이날 오전 7시30분 최영진 외교부 차관 주재로 김씨 석방을 위한 대책회의를 가졌으며 앞서 전날 밤 10시 외교부 청사에서 외교부와 국가안전보장회의(NSC)합동심야대책회의를 갖고 김씨 석방을 위한 정부의 대책과 이행상황을 점검했다. 최 차관과 이선진 외교정책실장 등 외교부 주요간부와 NSC 주요 실국장은 집무실에서 밤을 새우며 이라크 현지와 수시로 전화통화를 하는 등 상황진전 여부에 촉각을 곤두세웠다. 정부는 이와 함께 아랍의 위성방송인 알-자지라 등을 통해 이라크 파병 한국군의 역할이 전투지원이 아닌 평화재건 지원이라는 점을 집중 홍보하고 있다. 정문수 카타르주재 한국대사는 21일 낮 알-자지라 방송에 출연, 서희.제마부대의 인도적 지원과 평화유지 활동을 집중 설명했고 이광재 아중동국장도 알-아라비아방송과 전화 인터뷰를 갖고 파병문제를 소개하며 김씨의 석방을 호소했다. 나시리야에 주둔 중인 이라크 한국군 지원단장인 박성우 대령도 이날 오후 이방송과 전화 인터뷰를 갖고, "한국군은 이라크에 싸우러 온게 아니라 협력하러 온것"이라며 서희.제마부대의 활약상을 설명한 뒤 김씨의 무사귀환을 촉구했다. 또 같은 날 밤에는 열린우리당 송영길(宋泳吉) 윤호중(尹昊重) 의원이 이 방송에 출연해 김씨의 석방을 호소했다. 김삼훈 주유엔대사도 코피 아난 유엔 사무총장을 면담하고 김씨의 석방을 위한유엔 차원의 협조를 당부했으며 사무총장도 최대한 협조를 아끼지 않겠다고 다짐했다. 한편 21일 오후 한국을 출발한 현지대책반은 22일 오전 10시(한국시간)께 요르단 암만에 도착, 이라크 주재 우리 대사관과 접촉을 갖고 김씨의 석방을 지원할 계획이다. 또 중국 산둥(山東)성 칭다오(靑島)에서 열리는 아시아협력대화(ACD) 외교장관회의에 참석했던 반기문(潘基文) 외교장관은 일정을 하루 앞당겨 이날 오후 인천국제공항을 통해 급거 귀국한다. (서울=연합뉴스) 장용훈 이귀원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