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실리콘밸리 종합 기술단지로 변신


전세계 정보기술(IT) 산업의 본고장인 미국 실리콘밸리가 최근 바이오테크(BTㆍ생명공학 기술)과 클린테크(CTㆍ청정에너지 기술) 산업 등의 성황으로 서서히 종합 기술단지로 변모하고 있다고 월스트리트저널이 23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실리콘밸리는 여전히 휴렛패커드(HP)나 구글 등 IT 기업들에 의해 주도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 창업한 기업들은 당국의 정책적 지원과 새로운 시장수요를 바탕으로 기존의 IT 분야 위주에서 벗어나 사업영역을 다양화하고 있다. 실리콘밸리 내 에덴베일 기술공단의 성황은 이러한 변화를 잘 보여준다. 에덴베일 공단에는 지난 2007년부터 태양전지판 생산업체인 나노솔라사(社) 등 CT 회사들과 다수의 BT 기업들이 속속 들어서며 사세를 키우고 있다. 일부 BT 및 CT 기업들은 기업공개(IPO) 등을 통해 대기업으로 태동할 조짐도 보이고 있다. 전기차 제조회사인 테슬라모터스는 지난 6월 IPO를 한 뒤 도요타와 전기차를 개발하기로 제휴했다. 바이오연료회사인 코덱시스의 경우 지난 4월 IPO를 통해 7억8,000만달러의 자금을 모았으며 올 매출이 1억 달러를 넘어설 것으로 전망된다. 실제 IT 산업의 성장세는 주춤한 대신 그 외의 분야에서는 종사 인력과 투자자금 규모가 증가추세에 있다. 시장조사업체인 콜래보레이티브 이코노믹스에 따르면 실리콘밸리에서 반도체 및 컴퓨터 제조업 등에 종사하는 인력의 비율은 지난 1990년 50%에서 지금은 33% 미만으로 떨어졌다. 반면 실리콘밸리 내 CT 산업의 일자리는 지난 1995년부터 2008년까지 58% 급증했다. 같은 기간 이 지역의 전체 고용 증가율인 8%를 크게 웃돈다. 또한 시장조사업체인 벤처소스는 5년 전 실리콘밸리에서 벤처캐피털(창업기업 지원자금)의 70%가 IT 기업에 몰렸지만 지금은 50%를 밑돌고 있다고 집계했다. BT와 CT 등 IT 이외의 산업에 투자된 자금이 그만큼 많아진 것이다. 실리콘밸리가 이처럼 산업 다각화를 추진하는 것은 지난 2000년대 초반 IT 버블의 붕괴가 결정적이었다. 당시 공실률이 25%에 이를 정도로 실리콘밸리가 IT 버블 붕괴에 크게 흔들리자 당국이 대체산업의 육성에 나선 것이다. 일례로 산호세 재개발공사는 지난 2004년 에덴베일 공단에 BT 연구단지를 세운 뒤 2007년에는 입주기업들에게 자본설비를 지원키로 하는 등 다양한 지원책을 내놓았다. 산호세 재개발공사측은 “우리는 산업 다각화가 도움이 된다는 것을 알았어야 했다”고 말했다. 실리콘밸리의 변화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평가가 많다. 스탠퍼드대의 빌 밀러 컴퓨터공학과 교수는 “실리콘밸리의 산업 다각화는 지역경제를 안정시키고 양질의 일자리 창출에 기여하게 될 것”이라며 “특히 IT 산업이 이제 성숙단계에 들어갔다는 점에서 BT와 CT 등 신규 산업의 발전은 (실리콘밸리가) ‘혁신의 중심지’로서의 지위를 유지하는데 필수적”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