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8월 22일] 플루 대유행 가능성에 대비한 진료체계 시급

신종 인플루엔자 감염자가 하루 258명에 이를 정도로 확산속도가 빨라지고 있어 대유행 가능성을 염두에 둔 대책마련이 시급하다. 최근 감염자들을 보면 해외방문이나 외국인과의 접촉이 없는 지역사회 감염이 대부분을 차지한다는 점이 특징이다. 보건당국은 국내에서 대유행이 시작되면 입원환자가 23만명, 외래환자가 800만명에 이를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정부도 이미 검사강화는 의미가 없고 누구나 동네의원에서 즉각 치료할 수 있도록 상시체제로 대응방식을 바꿨다고 밝혔다. 문제는 다량의 항바이러스 치료제를 이미 확보해놓은 선진국들과 달리 우리는 현재 인구 11%에 해당하는 531만명분밖에 비축물량이 없다는 사실이다. 그동안 예산배정에 인색했기 때문이다. 정부가 21일 국가정책조정회의를 열어 250만명분을 추가 확보하기 위해 소요예산 625억원을 배정한 것은 늦었지만 다행스러운 일이다. 정부는 대유행에 대비해 예방백신도 전국민의 27%인 1,330만명분을 갖추기로 했다. 충분한 백신 확보가 필수적이지만 감염 취약계층에 대한 백신투여는 위험 가능성도 높으므로 안전성 검사를 소홀히해서는 안 된다. 신종 플루의 돌연변이 확률이 일반독감보다 10만배나 높아 변종이 발생할 가능성이 매우 크기 때문이다. 지난 1976년 미국은 전국민에게 돼지인플루엔자 백신을 투여하는 계획을 세웠다가 일부 지역에서 부작용이 커지자 전면 취소하는 대소동을 빚은 적도 있다. 항바이러스제와 백신을 모두 충분히 확보해야 하지만 치료제 확보가 더 중요하다는 것을 말해준다. 일선 의료기관의 진료 시스템 구축도 서둘러야 한다. 정부는 폐렴 등 중증환자를 집중 치료하기 위해 전국에 455곳의 치료거점병원을 지정, 운영하기로 했다. 그러나 대유행이 현실화하면 이 정도로는 부족하고 의원급 민간 진료기관까지 나서야 하는데 아직 자체검사 시스템을 갖추지 못해 사실상 운영이 어려운 실정이다. 신속한 검사체계를 갖출 방안을 찾아야 한다. 찬바람이 불기 시작하면서 대유행 가능성이 높아지고 변종발생 확률도 더욱 커지는 것이 플루의 특징이다. 민간 의료기관의 진료를 활성화하는 동시에 바이러스 변종과 내성 여부에 대한 실시간 모니터링을 강화하는 전방위 대책이 요망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