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다단계판매 피해 '눈덩이'

피해자 2년새 3배…경찰, 특별단속 1,231명 검거다단계판매 피해가 심각하다. 특히 최근에는 기존의 방문판매에서 인터넷으로 그 영역을 넓히면서 시장규모가 급속 팽창해 피해자와 피해액도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다. 25일 경찰청에 따르면 지난달까지 45일동안 특별단속을 벌인 결과 268만명이 1조8,400여억원의 피해를 당한 것으로 집계 됐다. 또 피해자도 주부, 대학생에서 회사원까지 다양화 되고 있으며 판매상품도 기존의 생활용품ㆍ침구류 등에서 인터넷 쇼핑몰이나 별정통신판매 등까지 다양화되고 있다. ◇불법 다단계판매 피해액 1조8,000억원=경찰청에 따르면 지난 5월 14일부터 6월 30일까지 불법다단계 판매에 대한 특별단속을 벌인 결과, 모두 1,231명을 검거해 이중 104명을 구속시켰다. 이로 인한 피해자는 총 268만명으로 피해액도 1조8,400여억원에 달했다. 다단계사업은 지난 97년 IMF이후 실직자나 주부, 그리고 취업이 어려운 대학생들이 대거 가세하면서 시장규모가 급증하고 있다. 소매금융업협회에 따르면 99년에 9,000억원에 불과하던 매출액이 지난해는 2조1,000억원에 달했으며 올해는 3조원을 훌쩍 뛰어넘을 것으로 점치고 있다. 판매원 또한 비공식 집계로 400만명에 달해 우리나라 국민 10명중 1명은 다단계 판매회원인 셈이다. 이처럼 다단계판매 시장이 확산되자 이에 따른 피해도 덩달아 증가하고 있다. 소비자보호원 통계에 따르면 다단계 판매로 피해를 봤거나 상담을 요구해온 사람은 지난 99년 961명에서 지난해 1,647명 그리고 올해는 지난달까지만 1,510명에 달해 올해 말에는 3,000여명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인터넷ㆍ국제전화카드 등 상품도 다양화=과거 다단계판매가 생활필수품이나 건강식품, 전기담요 등 일부 제한적 품목만을 취급해온 것에 비하면 최근에는 인터넷 쇼핑몰이나 국제전화선불카드(별정통신사업) 등으로 상품이 다양화되고 있다. 특히 최근 국제전화를 비롯해 시외전화등을 싸게 할 수 있는 이른바 별정통신사업은 주부들을 상대로 80만원을 내고 가입한 후 여러 단계를 나눠 회원을 끌어오면 수당으로 10만원씩을 주는 방식으로 급속도로 번져가고 있다. 하지만 전기통신사업상 별정통신사업은 일정요건만 갖추면 허가가 나고 카드발행량 신고 등의 의무화마저 없어 어느정도 판매되고 있는지 파악조차 어려운 상황이다. 다단계판매업체 한 관계자는 "다단계판매도 과거와 달리 가정주부를 비롯해 대학생, 네티즌 등으로 계층을 다양화하고 상품도 이들의 구미에 맞히는 한편 여러 상품을 함께 취급하는 백화점식으로 변해가고 있다"고 말했다. ■피해구제 이렇게 무등록업체일 경우 피해를 봤을때는 사실상 손쓸 도리가 없다. 하지만 등록업체들의 경우 회사설립때 일선 시ㆍ구청에 허가를 받아야 하기 때문에 이곳의 관리, 감독을 받는다. 물품을 반납하고자 할 때 일반인의 경우 20일이내에 가능하지만 다단계판매는 기본적으로 회원으로 등록되기 때문에 최장 1년까지 가능하다. 1년후에는 원가의 30%를 공제당한다. 서울시 소비자보호과 관계자는 "다단계판매는 합법적이라 하더라도 위험성이 높아 가급적 뛰어들지 않는 것이 피해를 방지하는 최선책"이라며 "설상 가입하더라도 업체의 등록유무를 반드시 확인하고 위법행위를 발견시에는 행정기관에 피해를 접수, 구제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한영일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