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업그레이드 코리아 "장기흑자" 97%

본보, 경제전문가 100명 설문결과'승리의 짜릿함을 경제도약으로 이어간다' 서울경제신문이 4강 진출을 맞아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응답자들은 대표팀이 거둔 기대 이상의 성적과 국민통합의 대외적 과시는 국가브랜드 가치를 높이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할 것이라는 데 일치된 의견을 보였다. 특히 이번 월드컵은 일본보다 상대적으로 뒤쳐졌던 한국의 위상을 선진국 수준으로 끌어올리고 앞으로의 투자유치 및 수출확대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됐다. 이번 설문조사는 임원급 재계인사 38명과 증권업계 임원급 애널리스트 20명, 경제단체 및 협회 임원 7명, 은행 임원 3명, 학계ㆍ연구소 12명, 경제부처 국장급 이상 공무원 20명 등 경제전문가 100명을 대상으로 실시됐다. ◇ 월드컵 수혜, 일본보다 크다 한국이 공동개최국인 일본보다 더 큰 과실을 얻었다는 응답은 69%로 압도적이었다. 일본이 더 큰 이득을 얻었다는 대답과 양쪽 다 똑같다는 비율은 각각 14%였다. 당초 우려했던 '들러리 서기'에 대한 우려가 말끔히 씻겨진 셈이다. 이유는 간단했다. 대회 성적이 월등히 좋기 때문이다. 세계적 수준의 경기운영과 국민 응집력도 한국이 일본보다 깊은 인상을 남긴 이유로 꼽혔다. 특히 수백 만 명이 붉은 옷을 입고 광장에 모여 국민적 단합과 축제 분위기를 과시한 것은 단순한 경제적 득실을 넘어 기대 이상의 플러스 알파 효과를 가져올 것이라고 응답자들은 지적했다. ◇ 유럽과 남미가 가까워진다 월드컵 개최 후 투자유치나 수출확대가 상대적으로 유리해질 것으로 예상되는 지역은 유럽(62%)이 수위를 차지했다. 월드컵 개최는 프랑스, 포르투갈, 이탈리아 등 축구종가에 한국의 이미지를 홍보할 수 있는 훌륭한 기회였기 때문이다. 브라질, 아르헨티나 등 축구강국이 포진한 중남미도 13%로 두 번째 자리를 차지했다. 북미(6%), 중국(6%), 동남아(5%) 등이 그 뒤를 이었다. 설문에 응답한 기업의 절반 이상인 55%도 유럽과의 비즈니스가 월드컵 이후 더 활발해질 것으로 전망했다. ◇ 업그레이드 코리아 실현되나 이번 한ㆍ일 월드컵이 단기적인 호재로 작용할 지에 대해선 의견이 엇갈렸으나 장기적으로 흑자라는 데는 대부분(97%)이 동의했다. 특히 대외적인 국가이미지의 제고(52%)는 수출에 걸림돌로 작용했던 '코리아 디스카운트'를 해소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됐다. 국민적 응집력의 확대(34%) 역시 대외적 자긍심을 높이고 한국의 역동적인 이미지를 각인 시킬 것으로 점쳐졌다. ◇ 경제도 '우승 예감(?)' 국내경제가 월드컵 개최로 '덕을 봤다'는 응답자는 69%. 특히 디지털가전(36%)과 정보통신(35%)은 내수업종 가운데서도 가장 큰 수혜를 누릴 것으로 예상됐다. 월드컵 개최 후 가장 유망한 수출업종으로는 'IT 월드컵' 이미지를 확실하게 살릴 수 있는 정보통신 장비 및 서비스가 59%를 차지했다. 디지털 가전(35%), 자동차(3%) 등의 수출도 월드컵 이후 활발해질 것으로 전망됐다. 응답자들은 월드컵 기간 중 하락했던 주가는 월드컵이 끝나도 당분간 현 상태의 조정이 지속될 것(51%)으로 내다봤으나 월드컵을 계기로 해외자본의 국내증시 유입이 늘어나는 긍정적인 효과가 있을 것(62%)이라고 기대했다. 증권업계 응답자들의 50%는 연말까지 주가가 900~1,000포인트까지 갈 것이라고 낙관론을 제시했다. 반면 전체 응답자중 43%는 주가가 800~900포인트일 것으로 예상했다. ◇ 정치는 걸림돌 월드컵이 성공적으로 마무리 되고 있지만 정치는 여전히 걸림돌로 지적되고 있다. 응답자의 76%는 월드컵 개최를 국가적 발전으로 승화하는 데 정치불안이 가장 큰 장애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우려했다. 이번 월드컵이 '할 수 있다'는 자신감과 '공정한 스포츠 정신', '강력한 리더십'에 대한 열망을 보여줬지만 정치에는 별로 영향을 미치지 못할 것(23%)이란 대답이 영향을 줄 것(22%)이라는 응답보다 많았다. 웃고 즐기는 새 미뤄지고 잊혀졌던 경제 현안에 다시 총력을 기울여야 한다는 지적도 있었다. 응답자들은 수출을 확대(31%)하고 기업구조조정을 마무리(24%)하는 한편 민생법안을 처리(17%)하는 데 힘써야 한다고 제시했다. 이연선기자 조의준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